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약탕기

추천0 조회수 4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약탕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높이 22.4㎝‚ 지름 14.9㎝ 약물을 담는 탕기 전약용구(煎藥用具)라고도 한다. 옛날 사람들은 “은그릇이 최상이요‚자기는 그 다음이다”라고 하면서 돌이나 철그릇으로 약을 달이는 것을 금하였다. 이러한 그릇으로 약을 달이면 후에 침전이 발생되고 용해도가 떨어지며 심지어는 화학변화를 일으켜 부작용이 생기기도 한다. 흔히 쓰이는 뚜껑 있는 도자기 약탕그릇은 값도 싸고 화학변화도 생기지 않는다. 약을 먹기까지 사용되는 약기구의 총칭으로 의약기 또는 약구(藥具)라고도 한다. 종류로는 채약 도구와 약연기‚ 약탕기‚ 약성 주기‚ 제약기‚ 약장기‚ 약도량형기 등이 있다. 약초를 캘 때 쓰는 채약 도구로는 약삽‚ 약호미‚ 대꼬챙이‚ 약초통‚ 약 망태기 등이 있다. 약을 가루로 빻는 데 사용되는 기구인 약연기로는 약연‚ 약맷돌‚ 약절구‚ 유발(乳鉢)‚ 약분쇄기 등이 있다. 약연은 속이 V자형으로 패인 가늘고 긴 배 모양의 그릇이며‚ 유발은 도자기로 된 큰 사발 같이 생긴 용기이다. 약을 달일 때 쓰는 기구인 약탕기로는 약탕관‚ 초두‚ 조두‚ 약두구리‚ 약당‚ 약솥 등이 있다. 약탕기로서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은(銀)이나 곱돌로 만든 것이다. 은은 짧은 시간에 약을 달여야 하는 발한제의 경우에 좋고 곱돌은 장시간 동안 달여야 하는 보약의 경우에 적당하다. 그러나 일반 서민들에서는 오지 약탕기가 널리 사용되었다. 액체로 된 약을 담거나 따를 때 쓰는 그릇인 약성 주기로는 약주전자‚ 약잔‚ 약완‚ 약호‚ 약사발‚ 약대접‚ 약병‚ 약따르기 등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대부분 물이나 술‚ 차 등을 담거나 따라 마시던 그릇들과 큰 차이가 없지만 궁중을 비롯한 상류층에서는 엄격히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약을 모아둘 때 쓰는 기구인 약장기로는 약장‚ 약단지‚ 약병‚ 약주머니‚ 약함‚ 약합‚ 약상자‚ 약통‚ 약궤‚ 약롱 등이 있다. 약장은 약재를 따로따로 나누어 넣어두는 서랍이 여러 개 달린 나무장으로 신분ㆍ용도ㆍ목적ㆍ지역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약롱은 약통보다도 작으며 휴대용으로 알약을 담아 가지고 다니던 것이다. 약을 만드는 데 쓰이는 기구와 도구를 일컫는 말인 제약기에는 약초 뿌리를 씻는 이남박을 비롯하여 약강판‚ 약작두‚ 약탕기‚ 약반죽기‚ 약시루‚ 약틀‚ 고약 볶기‚ 약숟가락‚ 약칼‚ 약깔때기‚ 약젓가락‚ 영사도가니 등이 있다. 그 밖에도 보조 기구로 조제상‚ 약풍로‚ 약소반‚ 약도마‚ 약보자기 등이 있다. 약의 무게를 잴 때 쓰는 기구인 약 도량형기로는 손저울 형식과 천칭 저울 형식 두 가지가 있다. 동양에서는 손저울이‚ 유럽에서는 천칭 저울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보통 저울보다 작고 정교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에 와서는 의학ㆍ약학의 발전과 더불어 최첨단 과학 기구들의 발전으로 정교하고 간편한 의약기들이 대량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