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무신도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무신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무속신앙(巫俗信仰)에서 섬기고 있는 신들을 그린 그림. <유래 및 발달과정> 무신도의 역사적 증거는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노무편(老巫篇)에서 찾을 수 있다. "벽에는 울긋불긋 신상을 그려놓고‚ 칠원과 구요는 액자에 그려 붙였다."라는 구절은 원색으로 그려진 무신도의 모습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조선 후기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衍文長箋散稿)』를 보면‚ 목멱산 잠두봉 국사당(木覓山 簪頭峯 國師堂)에는 고려 공민왕‚ 본조 무학(無學)‚ 나옹(懶翁)‚ 두신(痘神)‚ 지공상(指空像) 등의 신상이 걸려 있다고 했는데‚ 무신상의 흔적이 뚜렷하다. 무신도의 제작방법은 발이 고운 무명바닥에 신상을 그린다. 사용되는 천은 당목이 주로 쓰이고‚ 이따금 한지를 쓰기도 한다. 무신도의 크기는 일정하여 가로 60Cm‚ 세로 110Cm 정도가 보통이고‚ 이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도 있다. 채색은 적‚ 홍‚ 청색의 원색이 기본이고‚ 여기에 백‚ 흑‚ 녹색이 첨가된다. 무신도의 제작자는 사찰에서 탱화를 그리는 금어(金魚)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무당의 증언‚ 금어의 증언을 통해 확인된다. 그래서 무신도와 불화는 여러모로 유사한 면모를 지니나 서로 다른 특징은 무신도는 무속에서 신앙되는 초상인 점에 반하여 탱화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그리는 것이다. 무신도는 무가(巫歌)‚ 무복(巫服) 등과 더불어 무속신에 대한 관념을 파악하는 데에 긴요한 자료이다. 회화사상으로 종교화라는 한계를 지녔으면서도 우리의 종교‚ 신화‚ 예술을 용해시킨 예술품이며 불교‚ 도교‚ 무속의 문화사적인 복합을 파악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무속신중도(巫俗神衆圖)로‚ 전체적으로 붉은 바탕에 금니(金泥)로 그려져 매우 화려하다. 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모습을 배경으로 화면의 상단 중앙에는 대감신(?監神)과 무녀(巫?)가 있다. 대감신은 정자관(程子冠)을 쓰고 희고 긴 수염을 배까지 늘어뜨리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담뱃대를 들고 있다. 무녀는 검은 머리를 쪽지고 앉아 오른손으로 세 송이의 꽃을 들고 있다. 대감신의 왼쪽에는 총각머리의 동자가 합장을 하고 있으며 무녀의 오른쪽에는 동녀가 부채로 시중을 들고 있다. 하단에는 7명의 신중(神衆)들이 화려한 갑옷을 입고 손에 무기를 들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