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패각제공양구

추천0 조회수 11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패각제공양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교에서 공양의식(供養儀式)을 할 때 시주할 물건을 올려놓는 용구(用具). <유래 및 발달과정> 원래 인도의 브라만교에서 동물을 신에게 제물로 바치던 공희(供犧)에 대하여‚ 살생(殺生)을 금하는 불교에서 행한 제의형식(祭儀形式)으로‚ 몸에 기름을 바르고 향을 피우며‚ 꽃과 물 등을 바치고 등불을 켜던 원주민의 풍습을 본딴 것이라고 한다. 공양이란 말은 원래는 주로 신체적 행위를 뜻하는데‚ 나중에는 정신적인 것까지를 포함하여‚ 이를 신분공양(身分供養)과 심분공양(心分供養) 등으로 구별‚ 공양의 내용을 재(財)와 법(法)의 2종류로 분류하게 되었다. 그리고 공경공양‚ 찬탄공양‚ 예배공양이라고 하여 정신적 숭경(崇敬)의 태도까지를 포함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공양물의 종류‚ 공양의 방법‚ 대칭(對稱)에 관한 여러 가지 분류가 행해져‚ 『십지경(十地經)』의 이양(利養:財)‚ 공경‚ 행(行)의 3종(種)공양‚ 『대일경의석(?日經義釋)』의 향화(香華)‚ 합장‚ 예경(禮敬)‚ 자비운심(慈?運心)의 4종 공양‚ 밀교(密敎)의 도향(塗香)‚ 화(華)‚ 분향‚ 음식‚ 등명(燈明)의 5종 공양‚ 그리고 『법화경(法華經)』의 화(華)‚ 향(香)‚ 영락(瓔?)‚ 말향(末香)‚ 도향(塗香)‚ 분향‚ 회개(繪蓋)‚ 당번(幢幡)‚ 의복‚ 기락(伎樂)의 10종 공양이 있다.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三寶)나 승려나 승단(僧團)에 재물을 베풀거나‚ 불탑 또는 불당 등을 세우거나 교단에 의복‚ 음식‚ 침구‚ 탕약을 시여(施與)하거나 탑‚ 묘(廟) 또는 불상을 만들거나 방사(房舍)나 토지를 시여하는 것 역시 공양의 일종이다. 또한 독경과 예불을 함으로써 숭경(崇敬)의 뜻을 나타내거나 사자(死者)의 명복을 비는 일도 포함된다. 죽은 사람을 위한 추선공양(追善供養)‚ 아귀(餓鬼)를 위한 시아귀공양(施餓鬼供養)‚ 경전(經典)의 개제공양(開題供養)‚ 불상이나 종을 새로 만들었을 때의 개안공양(開眼供養) 또는 종공양(鐘供養) 등이 있다. 또한 천승회(千僧會)나 아미타불의 내영(來迎)을 본떠 행하는 법회를 각각 천승공양(千僧供養)‚ 연공양(練供養)이라 하여 각종 불교행사도 공양이라 한다. 티베트에서 공양은 주로 물질적인 것을 바치는 것을 외공(?供)이라 부르며 내적이고 비물질적인 것을 바치는 것을 내공(內供)이라고 한다. 외공은 유화존(宥和尊)과 분노존(忿?尊)에게 공양을 드리는 것이다. 유화존에게는 8가지를 바치는데 이는 원래 특별한 손님에게 존경의 뜻으로 바치는 것들로 마시기 위한 물‚ 씻기 위한 물‚ 꽃‚ 태우는 향‚ 등불‚ 바르는 향‚ 특별한 음식인 톨마(gtor-ma)라고 불리는 떡‚ 일종의 심벌즈라고 할 수 있는 타악기 연주 등이 그것이다. 축제와 같은 특별한 의식에서는 이를 다 갖추어 공양을 드리지만 일상적인 공양에서는 흔히 조그만 여러 사발에다 물을 담아서 그것들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분노존에 대한 공양에서는 6가지를 바치는데 여기에는 묘지에서 피어난 꽃‚ 고기를 태워 피우는 향‚ 인간의 기름 또는 그 대용물을 연료로 하는 등불‚ 쓸개즙의 냄새‚ 피(대개 상징적으로 붉은 물을 사용함)‚ 그리고 인간의 육체(말린 보릿가루와 버터를 섞어서 채색하여 빚음) 등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표형(瓢形)의 조개잔과 잔을 받치는 대(臺)로 구성된 의식용(儀式用) 공양구(儀式供養具)이다. 조개잔은 조개 형태를 그대로 살리고 잔의 구연 주변을 은(銀)으로 감쌌다. 잔대(盞臺)는 다리가 세 개인 삼족형(三足形)으로 잔을 받치는 곳은 잔을 잘 받칠 수 있게 조개 형태 그대로 살렸으며 다리와 주변은 구름모양으로 장식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