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의료기기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의료기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의술(醫術)로 병을 치료(治療)할 때 사용하는 도구(道具). <유래 및 발달과정> 티베트 의학에서 신체를 포함한 물질세계는 대부분 개인의 사적인 지각이며‚ 신체의 질병이나 건강은 바로 마음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기본적으로 불교적 세계관에 기초를 둔 것으로 그 배경에는 인도의 의학서인 아유르베다가 있다. 아유르베다는 인도의 전승의학(傳承醫學)으로‚ 아유르는 ‘장수’‚ 베다는 ‘지식’ 이라는 뜻으로 생명과학을 의미한다. 약 3000년 전에 발생하였으며‚ 4개의 베다 중에서 『아타르바베다 (Atharva-veda)』에는 수많은 의학(醫學)이 등장한다. 그 후‚ 상키아(S?khya)를 비롯한 철학의 영향을 받아 주술의학(呪術醫學)에서 탈피‚ BC 500년 무렵에 합리적이며 경험적인 의학으로 완성되었다. 아유르베다에서는 3개의 도사(dos?)‚ 즉 바유(v?yu:풍(風)‚ 피타(pitta:열(熱)‚ 카파(kapha:냉(冷)가 균형을 이룰 때가 건강한 상태이며‚ 생약(生藥) 등에 의한 균형을 도모하는 것이 치료의 원칙으로 되어 있어‚ 식사지도를 첫째로 꼽는다. 이 의학 역시 주술(呪術)과 종교적인 색채가 짙은 편이나 약물(藥物)의 섭취법(攝取法)이나 식이요법은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이론과도 유사하다. 티베트를 통일한 송첸캄포왕 시기에는 페르시아인‚ 중국인‚ 인도인 의사를 두어 건강관리를 하였으며‚ 티송테첸왕 때에는 인도와 중국‚ 몽골과 페르시아의 각 지역의 의사들을 초청하고 서적을 수입하여 티베트의학의 체계를 이루었다고 한다. 8세기 말 『사부의전(四部醫典)』이 저술되면서 몽골과 중국에 큰 영향을 주었다. 『사부의전』은 총 156장 5‚900 송으로 이루어진 네 부의 경전(經典)이며‚ 불경(佛經)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책에는 인접 주요 문화권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고대 페르시아-희랍의학에서 인도 아유르베다‚ 그리고 중의학에 이르는 당대의 최신 의학들이 집약되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한쪽 끝은 예리한 갈고리 모양으로‚ 좁은 틈 사이를 긁어내기에 적합하다. 손잡이 가운데는 나선형(螺旋形)의 음각선(陰刻線)이 있으며‚ 다른 한쪽은 끝을 구부려 원형 고리를 이루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