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조나한상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조나한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교의 수행을 완성하여 공양‚ 존경을 받을만한 성자를 표현한 상(像) <유래 및 발달과정> 나한은 미륵불이 나타날 때까지 열반에 들지 않고 이 세상에 살면서 불법수호의 사명을 위임받은 사람들이다. 인도에서는 불교의 삼보(三寶)신앙과 함께 나한에 대한 신앙이 성행하였고 중국과 우리나라의 경우 선종(禪宗)의 발달과 함께 나한숭배(羅漢崇拜)가 이루어져‚ 일찍이 반승의식(飯僧儀式)‚ 나한재(羅漢齋) 등이 이루어졌다. 중국은 육조시대부터 그림으로 그려졌고 당대에는 현장에 의해 『법주기(法住記)』가 번역됨으로써 십육나한의 신앙이 시작되었으며‚ 이름난 고승들을 모델로 하여 나한의 도상(圖像)이 형성되었다. 우리나라의 나한신앙의 전래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은 보이지 않지만‚ 『삼국유사(三國遺事)』나 금석문(金石文)을 통해 당 말 오대 시기의 나한신앙이 신라 후기에는 전래 내려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가모니의 십대제자를 비롯한 십육나한‚ 오백나한까지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고려에서는 923년 태조가 양나라에 보낸 사신 윤질(尹質)이 5백 나한상을 가지고 귀국한 뒤 해주 숭산사(崇山寺)에 봉안(?安)하고‚ 1053년 문종이 신광사(神光寺)에서 나한재(羅漢齋)를 베푼 것을 시작으로 무려 28회의 나한재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사원마다 응진전(應眞殿)을 갖추고 16나한을 봉안하여 예배하였는데 나한상과 함께 나한도를 봉안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4점의 목제나한상은 모두 한조를 이루는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굵직하면서도 시원스러운 옷 주름의 표현은 작품에 강한 인상을 심어주고 있다. 제 203 묘성존자(?聲尊者)는 기러기로 보이는 새를 무릎 위에 두고 있다. 몸에 비해 얼굴이 둥글면서 넓적하고‚ 눈은 옆으로 길게 표현되었다. 어깨는 급경사를 이루며 내려와 좁아 보인다. 가사의 표현은 장삼의 깃 표현과 가사매듭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제 175 정근심존자(?勤渙尊者)는 청색의 장삼에 붉은색 가사를 걸치고 있다. 두 손은 양 무릎 위에 가지런히 놓고 왼손에는 염주를 들고 있다. 얼굴에도 무표정한 다른 상과 달리 미묘하게 미소를 띠고 있다. 제 302 자상모존자(慈相貌尊者)는 매듭이 없는 가사를 걸쳤으며‚ 두 손을 합장하고 그 위에 흰색 천을 얹어 놓았다. 제 109 현신광존자(顯身光尊者) 는 서로 손가락 부분만 살짝 포갠 선정인을 결하고 있는 모습이다. 검은색 깃이 있는 녹색 장삼을 입었다. 넓은 옷소매는 무릎을 덮고 있는데‚ 안감이 드러나게 표현했다. 가사는 붉은색인데‚ 부채꼴 모양의 매듭장식 아래로 희고 넓은 띠장식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