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타악기의 하나로‚ 한국 전통악기 가운데 금부(金部)에 속하는 체명악기(體鳴樂器). <유래 및 발달과정> 금징(金鉦)‚ 금(金)이라고도 한다. 라(螺)‚ 금라(金螺) 등의 악기도 모두 같은 종류이다. 왼손에 들거나 틀에 매달아 채로 치며‚ 채 끝에 헝겊을 감아서 주로 장단의 강박에 친다. 중국 고대로부터 널리 쓰였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공민왕 때 명나라로부터 수입하였다. 본래 북과 함께 군중(軍中)에서 취타(吹打)에 썼고‚ 제례악(祭禮樂)‚ 무악(巫樂)‚ 범패‚ 풍물 등에도 편성된다. 군대에서는 북과 함께 사용되었고 북이 앞으로 나아가라는 신호인 반면에 징은 뒤로 물러나라는 신호로 사용했다. 종묘제례악에서는 징과 대금(?金)은 동일한 악기로‚ 종헌악(終?樂)에서 징이나 대금을 10번 침으로써 끝남을 알린다. 최근에는 사물놀이에서 중요하게 쓰이고 있다. 또한 무악(巫樂)에서도 ‘시왕맞이’ 의 기원제인 ‘방광침’ 때에 징소리를 울리며 기도를 하기도 한다. 재료는 방짜놋쇠로 하고 채 끝에 헝겊을 많이 감아서 치기 때문에 웅장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낸다. 징은 연주가 다양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나‚ 치는 횟수는 아주 중요하며‚ 정확한 박자로 제대로 받쳐 주지 못하면 다른 악기의 장단이 어지러워지고 불안하여‚ 장구나 쇠‚ 북 모두가 제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형태는 둥근 원반형이다. 구리와 주석을 합금(合金)한 방짜(方字)로 만들었다. 먼저 방짜를 녹여 만든 동글납작한 작은 쇳덩이인 `바둑` 을 만들고 이것을 불에 달군 다음 망치질하여 원하는 형태를 잡는다. 이때 망치질을 한 흔적이 방짜 표면에 남게 된다. 이 징 역시 표면에 두드린 흔적이 있으며 여러 줄의 가는 음각선이 있다. 채로 두드렸던 부분은 마모가 되었다. 뒷면은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측면에 끈을 연결했던 구멍이 2곳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