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부적판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부적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종이에 글씨‚ 그림‚ 기호 등을 그린 것으로 이것을 가지고 있으면 악귀나 재난을 막아준다고 믿게 하는 주술적 도구. <유래 및 발달과정> 기원은 원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바위나 동굴에 그린 주술적인 암벽화에서 찾을 수 있다. 부적은 대개 종이로 만들지만 재료에 따라 돌‚ 나무‚ 청동‚ 바가지‚ 대나무 부적 등도 있다. 나무 부적 중에는 벼락을 맞은 복숭아나무나 대추나무 부적이 상서로운 힘을 갖는다고 믿는다. 이는 나무가 벼락을 맞을 때 번개신이 깃들여 잡귀가 달아난다는 생각 때문이다. 대개의 부적은 황색 바탕에 붉은 색깔로 그린다. 황색(黃色)은 광명이며 악귀들이 가장 싫어하는 빛을 뜻하며 주색(朱色)은 중앙아시아 샤머니즘에서 특히 귀신을 내쫓는 힘을 지닌 것으로 간주된다. 적색은 피‚ 불 등과 대응하며 피는 생명과 감정의 상징이며 불은 정화하는 힘을 지닌다고 여긴다. 부적에 그려지는 그림은 용‚ 호랑이‚ 독수리 등의 동물과 해‚ 달 등이 많으며‚ 이 외에도 추상적인 와문형(渦文形)‚ 탑형‚ 계단형 등 다양하다. 글자는 일월(日月)‚ 천(?)‚ 광(光)‚ 왕(?)‚ 금(金) 등이 많은데‚ 부적 전체가 한자(漢字)로 된 것도 있지만 한자의 파자(破字)를 써서 여러 가지로 결합하고 여기에 줄을 긋는 형태들이 많다. 이런 경우에는 부적의 꼭대기에 ????칙령(勅令)???? 이라는 글자를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의 전래방법에 따르면 부적을 그릴 백지를 사다 놓고 외우는 주문〔勅紙神呪(칙지신주)〕‚ 부적 쓰는 먹물 만들 때 외우는 주문〔勅水神呪(칙수신주)〕‚ 부적을 쓸 때 사용할 벼루를 장만하고 외우는 주문〔勅硯神呪(칙연신주)〕‚ 그리고 먹과 붓을 위한 주문〔勅墨神呪‚ 勅筆神呪(칙묵신주‚ 칙필신주)〕이 있다. 일일이 부적제작에 사용되는 도구를 신성력(神聖力)으로 감화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부적을 쓸 때 몸과 마음의 일체감을 강조하고 있다. 부적은 사용목적과 기능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주력(呪力)으로써 좋은 것을 증가시켜 이를 성취할 수 있게 하는 부적이고‚ 다른 하나는 사(邪)나 액(厄)을 물리침으로써 소원을 이루는 부적이다. 전자에 속하는 것으로는 수명 연장‚ 재물‚ 자손을 얻기 위한 부적‚ 관직을 얻고자 하는 부적‚ 또는 입학을 성취하는 부적‚ 가족의 안녕함을 위한 부적‚ 그리고 모든 것이 잘되도록 하는 부적 등이 있다. 후자에 속하는 사례에는 재앙을 예방하거나 병을 물리치는 부적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러 장의 목판을 연결해서 만든 대형 연화고향판 이다. 윗부분에 전서(篆書)로 ‘연화고향(蓮花故鄕)’이라고 쓰여 있다. 3층 보탑(寶塔)이 세밀하고 정교하게 표현되어 있다. 1층 탑신(塔身)의 표현이 독특하며‚ 연화대좌(蓮花臺座)에 앉아 있는 여래상(?來像)이 한 구 있다. 여래는 가슴에 만(卍)자가 있으며‚ 대의(?衣) 안에 손을 넣고 있다. 탑의 상륜부(相輪部)도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탑신의 옥개석에는 풍탁(風鐸)으로 보이는 종이 달려 있다. 기단부는 수미단(須彌壇)의 모습으로 표현되었고 세밀하게 장식을 묘사하였다. 좌측에는 시주자‚ 감독자의 명단이 새겨져 있다. 또 ‘住持 李泰俊(주지 이태준)’이 나와 있어 이태준 스님이 주지로 있을 당시에 제작된 목판임을 알 수 있다. 목판에 인쇄할 때 사용했던 경면주사(鏡面朱砂)가 그대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