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수설명사승회함합소

추천0 조회수 6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수설명사승회함합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예수시왕칠생제(豫修十?生七齊)에 사용하는 문서(文書)의 일종. <유래 및 발달과정> 죽은 후에 행할 불사를 미리 닦는 의식인 생전예수제(生前豫修齊) 때 쓰이는 공문첩으로 내용은 헌좌게‚ 욕건만다라‚ 다게‚ 자공자언‚ 가지게‚ 행첩소로 이루어져 있다. 당나라 때 현장법사가 인도에서 십이생상속(十二生相屬)에 관한 것을 들여왔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전통의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지장경(地藏經)』 「이익존망품」을 살펴보면 ‘만약 어떤 남자나 여인이 살아서 착한 일을 하지 않고 도리어 많은 죄를 짓고 임종하면‚ 그의 가깝고 먼 친척들이 훌륭한 공덕을 지어 복되게 하더라도 7분의 1만 죽은 사람이 얻게 되고 나머지 공덕은 산 사람에게 돌아간다. 그러므로 현재와 미래의 선남자 선여자가 잘 듣고 스스로 닦으면 그 공덕의 전부를 얻을 수 있다’ 고 하였다. 그러므로 망자를 위해서 아무리 정성을 다한대 해도 망자는 그 공덕의 7분의 1밖에 얻지 못하므로 살아 있을 때 미리 재를 지낼 필요가 생겼고‚ 이것이 바로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예수제를 할 때는 금은전(金銀錢)과 단(壇)을 만들어 장엄하게 꾸미고‚ 신중작법(神衆作法)‚ 주향공양(呪香供養)‚ 소청(召請)‚ 등 고성염불과 바라춤‚ 나비춤 등 불교의식이 진행되며‚ 봉송(?送)으로 예수제를 마치게 된다. 재를 치르기 위해서는 법당 중앙에 삼신불단(三身佛壇)을 설치하고‚ 동쪽에는 지장단(地藏壇)‚ 서쪽에는 지왕단(地?壇)을 설치하고 명부시왕단을 법당 밖에 설치한다. 그리고 재를 지내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은 생전에 갚아야 할 빚을 청산하는 것이다. 그것은 불경을 읽어야 할 빚과 보시로‚ 전자는 불경을 사서 불단에 올리는 것으로 대신하고‚ 후자는 지전을 사서 시왕전에 바치는 것으로 대신한다. 이 절차가 끝나면 증표를 받게 되는데‚ 죽은 뒤에 시왕전에 그 증표를 바치면 극락왕생할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생전예수제(生前豫修齊) 때 쓰이는 공문첩을 인쇄하던 목판이다. 앞부분에는 ‘거 사바세계 남섬부주 해동조선 경성부 □정□ 동 (□도□군□면□리)거주제자 □생’ 이라 하여 재를 지내는 사람의 주소‚ 이름‚ 생년월일을 적도록 하였다. 그리고 저승돈을 몇 관을 내는지‚ 금강경과 수생경을 몇 부〔冥門之錢 □貫 金剛經 □部 壽生經 □部(명문지전 □관 금강경 □부 수생경 □부)〕를 공양하는지를 알 수 있다. 간기(刊記)에 의하면 1917년부터 1926년〔世尊應化二千九百四十□年(세존응화이천구백사십□년)〕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목판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