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닫집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닫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집 형태로의 장엄물(莊嚴物)로 불단(佛壇) 위에 매다는 것. <유래 및 발달과정> 법당 안의 불단(佛壇) 위를 덮도록 만든 집의 모형(模型) 또는 불상(佛像)의 머리 위를 가리는 일산(日傘)의 의미를 가진다. 보개(寶蓋) 혹은 천개(?蓋) 라고도 한다. 대승경전(?乘經典)에 보면 “부처님의 백호(白毫)가 칠보(七寶)의 대개(?蓋)로 변하여 하늘을 가렸다”는 대목이 있다. 인도는 더운 나라이므로 부처님이 설법할 때는 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산개(傘蓋)를 사용했는데‚ 이것이 후에 불상조각에 받아들여져 닫집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처음에는 천으로 만들었으나 후세에는 금속이나 목재로 조각하여 만든 것이 많아졌으며‚ 모양도 옛날에는 연화(蓮華)를 본떴으나 나중에는 4각형‚ 6각형‚ 8각형‚ 원형 등 여러 가지가 나타났다. 이것을 천장에 달아놓기도 하고 또는 위가 구부러진 긴 장대에 달기도 한다. 부처님의 극락세계를 상징하므로 내원궁‚ 적멸보궁 등의 현판이 붙는다. 현존하는 닫집은 운궁형(雲宮形)‚ 보궁형(寶宮形)‚ 보개형(寶蓋形)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눠진다. 운궁형은 포작(包作)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간결한 구조이나 길상적 의미를 가지는 장식물로 화려하게 연출하였으며‚ 보궁형은 닫집의 구조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형태로 시대가 흐르면서 점차 화려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보개형은 지붕을 천장 속으로 밀어 넣은 형태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안양암 천오백불전의 아미타삼존을 장엄(莊嚴)했던 닫집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우진각 지붕 형태로‚ 다포(太包) 양식과‚ 외(?) 3출목(出木)의 공포(?包)‚ 섬세하게 조각된 쇠서〔牛舌 (우설)〕등으로 꾸며져 화려한 건축적 특징을 보인다. 풍혈(風穴)은 구름무늬와 간략화된 쌍봉문(雙鳳文)으로 장식하고‚ 기둥 하단부는 연봉(連峰) 모양으로 조각한 후‚ 단청(丹靑)을 하였다. 내부는 천장을 막지 않아 5단으로 짜여진 내부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각각의 부재들이 정확하게 짜 맞춰져 치밀함과 균형미를 보여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