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예비좀돌날몸돌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예비좀돌날몸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좀돌날몸돌을 만들어가는 과정 상에 있으나 아직 완성되지 않은 단계의 몸돌. <발달과정/역사> 도구를 만들기 위한 기초 재료가 되었던 몸돌은 격지를 떼어내고 남은 몸체로서‚ 이 몸돌은 전 구석기시대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그러면서 중기구석기시대에는 르발루아몸돌이‚ 후기구석기시대에는 돌날몸돌과 좀돌날몸돌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일반적으로 좀돌날몸돌에서 떼어낸 좀돌날은 거의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좀돌날의 몸체가 되는 좀돌날몸돌은 다양한 제작 기술에 의해 만들어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좀돌날몸돌의 몸체에 있어서 격지를 이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의 구분이 가능하다. 또 그 안에서 각각 좀돌날 때림면을 어떤 방법으로 만들었는지‚ 좀돌날 때림면에 대해 특별한 조처를 취했는지의 여부‚ 좀돌날을 뗀 면의 수와 뗀 각도 등에서 구분도 다양하다. 다만 좀돌날을 떼어낸 좀돌날면은 거의 모든 좀돌날몸돌의 옆면에 한 면 내지 양 면으로 존재한다는 것과 단면의 모습이 쐐기형이라는 것은 공통된다. 좀돌날몸돌은 대부분 유리질이 많이 포함된 산성용암이나 수정‚ 흑요석을 석재로 이용한다. 그리고 좀돌날몸돌 역시 몸돌과 마찬가지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 결국 폐기된다. 예비좀돌날몸돌은 단면이 쐐기형태로 다듬어져 있으며‚ 아직 좀돌날을 떼지는 않았다. 앞의 유물과 비슷한 두께이며‚ 가장 긴 면이 주먹도끼의 옆날처럼 안팎으로 떼어져 79도 내외의 능선을 이룬다. 두 옆면은 밑에서 위로 떼어진 면이 대부분이고 일부 자갈면이며. 윗면은 켜면‚ 앞뒤의 면은 자갈면이어서‚ 소형 자갈을 감으로 이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세로자른면은 길쭉한 오각형에 가깝다. 전체 모습과 겉면의 손질 상태 및 크기를 고려할 때‚ 예비좀돌날몸돌을 만들어가는 과정의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조선대학교 박물관‚ “순천 죽내리유적”‚ 2000 조선대학교 박물관‚ “순천 월평유적”‚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