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병풍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바람을 막거나 공간을 가리는 가리기 위하여‚ 또는 장식용으로 방안에 치는 물건. 실용적인 면뿐 아니라 벽면을 장식하는 장식적인 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주술적인 염원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우리 나라의 경우는 ≪삼국사기≫에 신라시대의 신분제도를 나타낸 항목에 진골과 육두품은 병풍에 수(繡)를 금한다는 조항이 있다. ≪고려도경 高麗圖經≫에도 관청의 사면에 꽃을 수놓은 병풍을 쳐놓았다는 기록과 묵화병풍을 하인에게 선물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후기의 작품은 지금까지 많이 남아 있다. 병풍은 장방형으로 짠 나무틀에 종이를 바르고 종이·비단 또는 삼베에 그려진 그림이나 글씨·자수 등을 붙이고 그 폭과 폭은 돌쩌귀로 접합시켜 접었다 폈다 하기에 편리하도록 만든다. 2폭에서 12폭까지 짝수로 구성되어 있으나 12폭은 다루기에 편하도록 둘로 나누어 6폭씩 만들기도 한다. 폭은 장식과 용도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지고 있다. 병풍의 종류로는 2폭의 것은 가리개 혹은 곡병(曲屛)이라고 하며‚ 머리맡에 치는 얕은 병풍은 머리병풍 또는 침병(枕屛)이라고 한다. 한 주제의 그림만으로 꾸민 것은 일본에서 전해진 형식이라고 하여 왜장병(倭粧屛)이라고 부른다. 여러 가지 주제의 작은 그림들 또는 글씨·탁본·도장 등을 전면에 붙여서 꾸민 것은 백납병(百衲屛)이라고 하며‚ 수를 놓은 것은 수병‚ 온판〔全板〕으로 꾸민 것은 삽병(揷屛)이라고 한다. 병풍은 표현되는 주제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① 일월병(日月屛) : 해와 달에 십장생문을 곁들여 당채로 그린 것으로 궁중에서 어좌인 용상 뒤에 펴놓는다. ② 고정동수병(古鼎董繡屛) : 고대의 청동으로 만든 솥이나 종을 검정 비단에 금사·은사·황금색 꼰사 등으로 수를 놓은 것이다. ③ 장생병(長生屛) : 장생하는 동식물 열 가지(사슴·학·산·거북·물·구름·소나무·대나무·불로초·해)를 주제로 하여 만든 병풍이다. ④ 백동자병풍(百童子屛風) : 어린이들의 물놀이·수탉싸움·북 치는 장면·전쟁놀이 등을 표현한 것이다. ⑤ 신선도병풍 : 도교에서 나온 사상으로 신선·천도·사슴을 주제로 삼았다. ⑥ 글씨병풍 : 명언이나 시구‚ 명필가의 글씨를 붙인 병풍. 글씨병풍은 당나라 때 예로부터 내려오는 가훈이나 계서(戒書)를 적은 병풍을 1구씩 비치하여 좌우명으로 삼게 한 데서 시작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백수백복이라 하여 수·복자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만들기도 하였다. ⑦ 화조병풍 : 가장 즐겨 주제로 삼은 것 중의 하나로‚ 꽃만을 그리기도 하고 새와 물고기 등을 같이 다루기도 한다. ⑧ 도장병풍 : 역대 국왕의 옥새 혹은 사인(私印)을 보기 좋게 구성하여 찍은 것이다. 이 밖에 책더미를 중심으로 문방사우와 서구를 그린 서권도(書卷圖)병풍‚ 아름다운 자연을 표현한 산수도병풍 등이 있었다. 흰 종이만으로 발라진 하얀 소병(素屛)은 상중의 제사 때에 사용하였다. 현재 우리 나라의 병풍은 바람막이로서의 실용성을 떠나서 주로 벽면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글씨·그림·자수·탁본·염색 등 분야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그냥 펼쳐서 장식하는 이외에 넓은 벽면에 벽걸이로 걸어놓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