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수복화초문 베갯모

추천0 조회수 7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수복화초문 베갯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베개의 양 끝부분을 막는 마구리. 베개의 양쪽 마구리에 대는 꾸밈새로 조그마한 널조각에 수놓은 헝겊을 덮어 씌워 만든다. 자수를 놓은 것‚ 목재판에 양각한 것‚ 나전칠기‚ 화각 등의 재료를 이용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네모난 것은 여자용‚ 둥근 것은 남자용인데 이것은 천원지방(?圓地方)의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간혹 여자들이 둥근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부분이 무늬가 시문된 얇은 판재의 둘레에 여러 개의 구멍을 뚫어 꿰매거나 주석으로 테두리를 견고하게 두른 후 베갯잇무늬는 보이게 하고 주변의 주석은 덮어 씌워 고정시키는 형식을 취한다. 베개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위하여 누울 때 머리에 괴는 물건으로 우리 나라의 전형적인 베개는 헝겊으로 길게 만들어 속에 왕겨·메밀껍질 등을 넣고 봉한 다음‚ 흰색의 무명으로 호청을 만들어 겉을 싼 것이다. 양쪽의 모는 둥글게 하든가 각지게 하여 십장생문양이나 길상문을 수놓았다. 그리고 탄탄하게 속을 넣으므로 베개 속은 사방 6개로 된 통로가 새어‚ 장시간 베고 있어도 머리에 부담이 적고 상쾌한 느낌이 든다. 이 밖에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목침도 있으며‚ 판자를 맞추어 만든 퇴침도 있었다. 퇴침 속에는 작은 차돌을 넣어 들을 때에는 딸가닥 소리가 나게 만들기도 하였다. 요즈음에는 속에 스펀지나 닭털을 넣고‚ 옆에 모를 붙이지 않고 넓적한 모양으로 만든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박영규‚ 한국의 목공예‚ 범우사‚ 19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