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기쟁반

추천0 조회수 5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기쟁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물건을 놓거나 물건을 얹어 사용하기 위하여 밑에 받치도록 만든 기물을 일컫는 말을 상이라 하며 소반·평상·연상·걸상·책상·제상 등을 통틀어 지칭한다. 식물을 놓는 기물은 상이라는 말 대신에 형태나 높이에 따라 조(俎)·반(盤)·탁(卓) 등으로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또‚ 책이나 서류 등을 올려놓는 기물은 안(案)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조선 후기 이후 상이란 주로 밥상을 의미하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또‚ 표면에 나전(螺鈿)을 입히고 칠을 하거나 조각으로 장식하기도 한다. 크기는 작은 먹을 올려놓기 위한 소형에서부터 사람이 눕는 침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국가에서 동을 채굴하여 유기의 생산을 장려하였다. ≪경국대전≫의 공조(工曹)편을 보면‚ 유기를 전담하여 놋그릇을 생산하는 유장(鍮匠)이 국가공무원으로서 본조(本曹)와 내수사(內需司)·상의원(尙衣院)에 각각 소속되어 있었으며‚ 지방관아의 공방에도 유기공들이 소속되어 있었다. 이 밖에도 민간인 유기장들이 많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중기 이후에는 놋점 또는 놋전이라고 불리는 유기점이 따로 있어 각종 식기류와 풍물류의 놋그릇을 판매하였다. 6·25 전까지는 개성·안성을 비롯하여 김천·남원·운봉·전주·홍성·박천·평양·사리원·정주·서울 등지에서 놋그릇을 많이 만들었으나‚ 6·25 이후 연탄이 사용되면서 연탄가스에 변질되기 쉬운 놋쇠의 성질 때문에 차츰 없어지기 시작하였다. 놋그릇의 종류로는 크게 식기류·혼사용구·제사용구·불기류·난방용구·등잔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식기류는 숟가락·젓가락 외에 칠첩반상기(七─飯床器)·구첩반상기(九─飯床器)가 있다. 칠첩반상기란 그릇의 종류가 모두 뚜껑까지 32개가 한벌로 된 밥상의 식기를 말한다. 혼사용 유기로는 식기대접 두벌‚ 숟가락·젓가락 두벌‚ 사랑요강·안방요강‚ 큰 세숫대야(어린애 출산용)‚ 작은 세숫대야 등이 있으며‚ 제사용 놋그릇으로는 구삼벌·제주발·갱기·수저·제잔·잔대·탕그릇·적틀·편틀·포틀·약기·제종지·제접시·모사기·퇴주그릇·주전자 등이 있다. 불기의 종류로는 대·소 불기‚ 놋동이·향로·촛대·향합·바라·범종·옥수기 등이 있다. 난방용구로는 화로·부젓가락·부삽‚ 등잔류로는 유경등잔·나비촛대 등이 있다. 이들 놋그릇은 시간이 지나면 푸른 녹청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이를 깨끗하게 닦는 것은 여인들의 일과이자 풍속으로‚ 암키와를 곱게 빻은 것을 수세미에 묻혀 윤이 반질반질하게 날 때까지 닦았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