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비취뒤꽂이

추천0 조회수 4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비취뒤꽂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쪽찐 머리 뒤에 덧꽂는 비녀 이외의 장식품. 머리를 더욱 화려하게 꾸며주는 장식적인 것과 실용적인 면을 겸한 귀이개·빗치개 등이 있었다. 일반 뒤꽂이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과판`이라 하여 국화 모양의 장식이 달린 것이 있었으며‚ `연봉`이라 하여 피어오르는 연꽃봉오리를 본떠 만든 장식이 달린 것과 매화·화접(花蝶)·나비·천도(?桃)·봉(鳳) 등의 모양을 장식한 것들도 있었다. 이것들은 주로 산호·비취·칠보·파란·진주 등의 보패류로 만들어서 여인의 검은 머리를 더욱 화사하고 아름답게 꾸며주었다. 조선시대의 의식 때 왕실이나 상류계급에서 큰머리나 어여머리에 꽂았던 떨잠도 꽂는 장소야 어디든지 뒤꽂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나비모양·둥근모양·사각모양 등의 옥판(?板)에 칠보·진주·보석 등을 장식하여 만든 것으로 큰머리와 어여머리의 중심과 양편에 하나씩 꽂았던 최고의 수식품이다. 실용을 겸한 뒤꽂이로는 빗치개와 귀이개가 있다. 빗치개는 가르마를 탈 때나 밀기름을 바르거나 빗살 틈에 낀 때를 빼는 데 필요한 것으로‚ 다른 화장도구와 함께 경대에 두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언제부터인가 머리를 장식하기에 알맞은 형태로 만들어서 머리 수식물의 하나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귀이개는 원래 귀지를 파내는 기구인데‚ 이것도 장식물로서 쪽찐 머리에 꽂게 된 것이다. 이에는 귀이개와 함께 꽂이가 가지처럼 달린 것이 있었다. 비취(翡翠 ‚ jade)는 옥(?)의 일종으로‚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녹색 광물이다. 경옥(硬?:jadeite)과 연옥(軟?:nephrite)의 두 종류가 있다. 경옥은 비취휘석이라고도 하는 휘석족(輝石族) 광물로 에메랄드그린의 아름다운 색조를 지니며‚ 주로 반지나 브로치 등 장신구로 사용된다. 굳기 7로 연옥보다 단단하고 색조가 아름다워 보석으로서는 고가(高價)이다. 보통 비취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킨다. 경옥은 맨 처음 중국에서 사용되었으나 실제로 중국에서는 전혀 산출되지 않고‚ 주산지는 미얀마이다. 중국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이후이며‚ 그 이전에 중국에서 비취 또는 옥이라고 한 것은 주로 연옥을 말한다. 연옥은 각섬석족(角閃石族) 광물이며‚ 굳기 6.5로 경옥보다 낮다. 그러나 인성(靭?)이 강하여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접시 ·잔 ·단지 등 아름다운 장식품으로 조각하여 사용하였다. 색조는 녹회색 또는 진한 녹색으로‚ 경옥보다 못하다. 그러나 빛깔이 엷고 반투명인 것은 아름다워서‚ 이것을 사용하여 많은 예술품이 만들어졌다. 중국에서 조각품에 사용된 연옥원석의 확실한 산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고대 중국에서 사용된 원석은 중앙아시아의 호탄에서 들어온 것이라 생각되고 있다. 중국 외에도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뉴질랜드 등지에서 고대 원주민이 무기나 공구(工具)로 사용하였다. 현재는 이들 각 지방 외에 세계 각지에서 산출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