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삼작노리개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삼작노리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노리개는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등에 다는 패물로 궁중에서는 물론 상류사회와 평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된 장식물이다. 삼작노리개는 의식의 경중에 따라 대삼작‚ 소삼작‚ 단작으로 구분되고 삼작을 한 곳으로 연결한 띠돈 뒷면의 고리로 옷고름에 걸게 되어 있다. 꽃문양을 조각한 귀이개‚ 호리병형 향합‚ 바늘통을 달아 장식과 실용을 겸하였다 젊은 부녀자는 소삼작 노리개를 대부분 사용하였다. 삼작 모두 칠보로 장식하였는데 남색술에 침통(針筒)‚ 자주색 술에 가지 3개‚ 옥색술에 한 쌍의 원앙을 조화있게 배열하였다. 소삼작은 회자문을 새긴 사각띠돈으로 엮고 3색 쌍봉술을 노렸다. 반가에서 의식때 사용하던 것으로서 중삼작노리개이다. 그 중 투호형은 6모(角)에 길상문과 장생문을 조각하고 그 위쪽에는 매죽문 조각으로 장식하였으며 전후측면에는 작은 열매모양의 산호를 물려 움직이면 흔들리게 함으로써 화려하고 아름답게 장식하였다. 대례복의 봉띠에 차는 대삼작노리개에는 손바닥 크기가 넘는 산호가지와 백옥나비 위에 진주‚ 청광석‚ 산호등의 구슬을 배열하여 금속세공을 한 나비 한쌍 주먹만한 밀화불주로 조형미와 진귀성을 무게있게 보여주는 패물들을 기품있게 쭉쭉 뻔은 낙지발술노리개에 달았다. 삼작 노리개에는 패물을 다는데 그 중 용머리문을 양각한 도끼는 다남(太男)‚ 범발톱은 벽사(벽邪)‚ 꽃무늬를 음각한 장도는 장신구와 호신용의 의미를 담는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경기도 박물관(http://www.musenet.or.kr)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