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옥양목 겹바지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옥양목 겹바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쪽으로 다리가 들어갈 수 있도록 가랑이가 나누어져 있는 형태의 하의(下衣)를 고의라 한다. 바지·고이 두 계통의 어휘가 있고‚ 한자어로는 고의(袴衣)·경의(脛衣)·각의(脚衣)로 표기된다. 고이는 신라의 ‘가반(柯半)’·‘가배(柯背)’에서 ‘佳觀→佳膠→佳외→고이’로 변천되어 내려온 것으로‚ 여자의 고쟁이도 같은 어원으로 본다. 바지는 그 어원을 알 수는 없으나‚ 정인지(鄭麟趾)의 ‘바지(把持)’라는 표기로 미루어 현재의 명칭은 이미 조선 초기에 고정된 것 같다. 또한‚ 조선시대 바지의 궁중용어로 ‘봉디’가 있고‚ 형태나 재료봉제법에 따라 그 명칭과 종류가 다양하다. 남자의 바지는 고대에서부터 그 기본형은 변함없이 명칭만 변화되면서‚ 바지·고의·잠방이라고 하여 겉옷과 속옷으로 입었다. 여자의 바지는 속옷화하여 치마 속에 입게 되었다. 여자 바지는 치마나 단속곳 속에 입는 속바지로 되어 모양이 남자 바지와 다르다. 조선 후기는 관고의 밑을 따로 떨어지게 만들어 여러 계층에서 모두 입었다. 밑이 따로 떨어진 두 가랑이를 서로 겹치게 하고 끈이 달린 띠허리를 달았으며‚ 바지부리는 좁고 배래는 곡선을 이루었다. 여자의 속바지로는 바지·너른바지·고쟁이·단속곳 등이 있었다. 겨울은 명주·삼팔·자미사·호박단 등으로 솜을 두어 만들었고‚ 봄·가을은 숙고사·진주사 등으로 겹바지를 만들었다. 여름은 옥양목이나 모시 등으로 홑고쟁이를 만들어 입었다. 다만‚ 말군이 있어 상류계급의 여자들이 가례승마(嘉禮乘馬) 때나 승교(乘轎) 때 착용하였다. 이는 여자들이 바지를 겉옷으로 입었던 풍습의 유래로 볼 수 있고‚ 이로써 귀천을 가리기도 하였다. 그런데 부녀 기마의 풍습이 사라짐에 따라 그 격이 낮아져 하층계급의 격식을 갖춘 승마복이 된 듯하다. 남자 바지의 모양은 폭이 여유 있게 넓고 마루폭·사폭·허리로 구성되어 있다. 몸의 허리에 띠를 매어 입고 바지부리를 발목에 대님으로 매어 입는다. 조선시대 때 출토된 것 중 누비바지를 볼 수 있는데‚ 고대로부터 오늘날까지 그 모양의 변화가 거의 없었음을 볼 수 있다. 어린아이의 바지로 풍차바지가 있는데‚ 이것은 용변의 편리를 위하여 뒤를 길게 트고 양쪽에 밑을 달아 여며 입도록 된 것이다. 우리 나라의 바지는 고대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옷의 기본 복식으로 형태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남자 바지는 조선시대 사폭이 조금 넓어졌다 좁아졌다 하는 정도이다. 계절에 따라 옷감과 색깔‚ 만드는 방법이 다를 뿐이며 기본형태와 입는 방법에는 변화가 없다. 여자의 바지는 속옷화하여 조선시대는 밑이 벌어지는 형태가 되었다가과 일본 상인이 영국에서 가공된 것을 수입해 들여왔다. 이 세련된 세면포(細綿布)를 서양포(西?布) 혹은 양포(?布)라고도 하였는데‚ 표백 가공된 상태가 옥처럼 깨끗한 양포라고 하여 옥양목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옥양목에 수요가 몰리게 되자‚ 우리 나라 농가에서 생산하던 재래의 무명베는 이때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요즘은 옛날보다 올이 성글게 나오며‚ 주로 옥양목보다 품질이 낮은 것을 옥당목(?唐木)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요즈음은 다시 원래의 막힌 형태로 돌아가고 있다. 옥양목(??木‚ calico)이란 평직으로 짜서 표백한 면직물의 하나를 가리킨다. 무명실로 너비가 넓고 곱게 짠 천으로 얇고 색깔이 매우 희며‚ 보통 나염해서 침구나 조화(造花)에 많이 사용된다. 주로 인도 등지에서 생산되어 영국 등지로 수출되었다. 영국에서는 17세기부터 동인도회사를 통하여 인도산 면포를 다량 수입해 들여 면직물 생산에 박차를 가하였다. 원래 캘리코(calico)라 함은 캘리컷(calicut:인도 남서부 케랄라주 코지코드의 옛지명)에서 생산되는 면포를 지칭하는 말이었는데 오늘날에는 인도산 면포의 일종을 지칭하는 영국말로 사용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개항 이후 청(?)나라 상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