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생은조사 겹두루마기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생은조사 겹두루마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우리 나라 고유의 겉옷. 좁은 의미로는 조선 말기에 도포(道袍)·창의(灑衣) 등의 제도가 없어지고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 입혀지고 있는 포제(袍制)를 말한다. 소매는 좁고 직령교임식(直領交扉式)이며 양 옆에 무를 달아 옆을 막고‚ 길이는 발목에서 20∼25cm 정도 올라오게 한다. 이것은 우리 민속의 후리매·쿠리매 등의 계통을 이은 하서인(下庶人)의 포제였으나‚ 그 간편함 때문에 일반화된 것이다. 두루마기란 ‘두루 막혔다’는 뜻이고‚ 한자어로는 ‘주의(周衣)’라고 한다. 일부에서는 그 어원이 몽고어의 쿠루막치(xurumak○i)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다. 오늘날의 두루마기는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 때 사복(私 服)은 귀천을 막론하고 넓은 소매의 옷 대신 좁은 소매의 옷을 입게 하였다. 또 관직에 있는 사람은 전복(戰服)을 덧입게 한 데서 일반화되었는데‚ 갑자기 시행된 이 의복개혁은 국민으로부터 맹렬한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10년 뒤에는 사람들이 통상 예복에 착용하게 되었다. 1895년 을미개혁에서는 관과 민이 동일한 흑색두루마기를 착용하게 하여 두루마기 일색이 되었다. 조선 말기 왕비평상복 발기(件記)에도 두루마기가 나오고‚ 양반부인·기생의 사진 등에도 이를 입고 있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우리 나라 전통포가 마지막 포제인 두루마기로 이어져 완성되었음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종류는 백이두루마기 ·홑단두루마기 ·겹두루마기 ·솜두루마기 등이 있으며 계절에 맞추어 입는다. 옷감은 겨울용에는 명주 ·모직 ·무명 ·옥양목 ·부사견을 주로 쓰고‚ 봄 ·가을용에는 명주 ·항라 ·옥양목을‚ 여름용에는 모시 ·생모시 ·항라 등을 쓰며‚ 빛깔은 일반적으로 백색을 많이 쓰나 회색 ·고동색도 쓴다. 어린이들도 예를 갖추어야 할 때는 두루마기를 입는데‚ 모양은 성인용과 같으며 돌이나 명절에는까치두루마기나 오방장(五方丈)을 입는다. 오늘날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두루마기가 있다. 은조사란 견직물의 한 가지로 날실(경사)을 한 가닥마다 익직하여 짠 직물로서 방공(方空)의 형태를 취한 여름철의 한복용 옷감이다. 한국에서 사용된 은조사는 한국산 ·중국산 ·일본산 등이었으며‚ 보통 여인들이 여름에 깨끼치마나 저고릿감으로 사용했다. 은조사는 반드시 안과 밖을 같은 감으로 겹쳐서 지어 입는다. 이와 같이 겹으로 지으면 옷감의 올과 올이 겹치어 형형색색의 무늬가 나타나는데 그 무늬의 어울림이 시각적으로 시원할 뿐만 아니라 청아한 멋이 풍겨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날실은 생사‚ 씨실(위사)은 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