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회보라색 국화 채화문단 솜저고리

추천0 조회수 8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회보라색 국화 채화문단 솜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솜을 두어 만든 여자용 저고리. 저고리는 옛부터 남녀가 공통으로 착용한 가장 기본적인 상의이다. 솜저고리는 겹저고리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을 두어 만든 저고리로 핫저고리라고도 한다. 이는 보온과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였다. 대개 겨울에 주로 방한을 위하여 착용하였으나 초봄이나 가을에 자미사나 명주에 얇게 솜을 두어 입기도 하였다. 또한 전쟁시 갑옷 아래에 입어 신체를 보호하기도 하였다. 솜저고리와 같이 솜을 둔 옷은 바지와 겉옷인 철릭‚ 직령과 버선 등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사용되는 옷감의 종류도 다양하여 두꺼운 비단류 뿐 아니라 사(紗)‚ 명주(明?)‚ 백저(白苧) 등을 사용한 의복이 널리 사용되었다. 저고리에 솜을 두는 방법에는 크게 겉감과 안감사이에 솜을 넣고 줄이 죽죽지게 홈질로 재봉하는 누비기법과 중간 재봉선이 없이 솜을 둔 것이 있다. 누비는 대개 세로선이 지게 하였는데 그 간격은 5㎜정도로 촘촘한 것부터 10㎝정도의 널직한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솜을 두껍게 넣은 경우는 누비간격이 넓고 바느질 땀수도 엉성하며 얇게 솜을 넣은 것은 누비간격이 좁고 땀수도 정교하다. 저고리의 형태의 변화와 유사하게 솜저고리도 변화하였다. 조선시대 초기까지 등길이가 허리정도에 이르고 소매통이 좁고‚ 화장이 길고 수구에 넓은 끝동이 달려 있던 것이 점차 길이가 짧아지고 소매배래도 곡선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깃의 형태도 목판깃이 당코깃을 거쳐 둥근깃으로 변화하되었고 고름이 가늘고 짧았던 것이 점점 넓고 길어졌다. 그러나 솜저고리는 기본적으로 겹저고리나 깨끼저고리에 비하여 직물자체의 두께가 두껍고 뻣뻣하였으며 실용적인데 목적을 두었으므로 예의를 갖추거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옷으로는 적당하지 않았다. 단은 주자조직으로 제직된 직물의 총칭이다. 단은 무늬가 없는 공단(貢緞)과 단층의 주자문직물인 문단(紋緞)‚ 이색단‚ 중조직으로 짜여진 직금단(織金緞)‚ 금단(錦緞)‚ 화단(花緞) 등으로 구분된다. 주자조직은 조직점이 분산되고 거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아 직물면이 매끈하고 광택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경사가 표면에 많이 드러나게 짜여진 조직은 경주자직이라 하며 위사가 많이 드러나게 짠 것은 위주자직이라 한다. 현대 주자직물의 대부분은 경주자직물이지만 전통직물에서는 경주자직과 위주자직을 혼합한 문단의 제직이 많이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박물관종합정보안내 사이트(http://www.korea-museum.go.kr)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심연옥‚ 한국 직물 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2002‚ p12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