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옥색 인견문주 저고리

추천0 조회수 6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옥색 인견문주 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팔과 몸통을 감싸며 앞을 여며 입는 형태로 된 한복의 윗옷. 우리 민족의 고유복식은 바지저고리를 기본구조로 하는 북방계통이다. 특히 저고리에서는 북방계 옷의 공통된 특징인 곧은깃(直領)‚ 왼쪽으로 여밈(左父)‚ 좁은소매(窄袖)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저고리의 길이는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점차 짧아진다. 지금까지 조사된 저고리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530년대와 1560년대의 유물이다. 이것은 이미 띠가 필요 없을 만큼 짧아져 띠 대신 고름이 달려 있고‚ 각 부의 구성이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후로 여러 점의 유물이 발굴되고 있어 조선시대 저고리의 변천을 자세히 살필 수 있다. 1600년대의 저고리는 길이가 60∼80㎝이고‚ 1700년대에는 45㎝ 정도‚ 1800년대에는 35㎝ 정도‚ 1900년대에는 22㎝ 정도로 짧아졌다. 여자저고리는 줄곧 단소화(短小化)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경향은 조선시대 중기·후기에 더욱 가속화되어 그 길이가 가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짧아지고‚ 직배래를 이룬 소매는 벗을 때 소매를 뜯어내야 할 정도까지 이르러 요사(?邪)하다는 지탄을 받기도 하였다. 저고리가 짧아짐에 따라 각 부의 형태도 작아졌고‚ 특히 고름은 가늘고 짧아졌다. 반면‚ 회장은 겨드랑이에서 소매를 따라 나아가는 등 더욱 강조되었다. 이와 같이 저고리가 짧아진 현상은 엄청나게 큰 머리모양‚ 풍성한 치마와 어울리기 위한 것으로‚ 그 당시의 해이하고 화미(華美)하였던 사회풍조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소화의 경향은 말기에 약간의 반전기미를 보이다가 개화기에 들어 1920년대까지 지속된다. 그 뒤 1930·1940년대에는 저고리의 길이와 각 부가 커지는 장대화(長?化)의 경향이 나타난다. 기(綺)는 평조직 바닥에 능직‚ 주자직‚ 부직 등으로 무늬를 짠 단층의 문직물을 말한다. 우리 나라 와 중국에서 공통적으로 명명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평조직 바닥에 능조직으로 무늬를 짠 기종류 의 직물을 능직물에 포괄시켜 평지능문능(平地綾紋綾)으로 분류하고 있다. 조선시대 기의 유품은 다양하고 풍부하게 남아 있는데 조선시대의 문헌 중에는 `기`라는 명명은 드물며 기‚ 문주‚ 숙수 등 변화된 명명으로 기직물이 전승되고 있다. 재생섬유는 우아하고 섬세한 견섬유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섬유로서 이를 인조견이라고 하는데 나중에 이름이 레이온으로 바뀌었다. 인조견은 산화‚ 환원표백제에 견디지만 강한 산화표백제에는 손상을 받는다. 또한 염색시 물에 의해 얼룩이 쉽게 생기는데 직접염료‚ 환원염료‚ 유화염료 등에 염색 된다. 인조견은 내의류‚ 자동차타이어‚ 가구용품 등에 사용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심연옥‚ 한국직물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2002‚ pp79-8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