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삼층장

추천0 조회수 2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삼층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삼층으로 되어 있지만 옆널이 길게 한개의 판으로 되어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가구. <유래 및 발달과정> 조선후기의 왕조실록에 나타나는 칠목기전(漆木器廛)은 한성(漢城)의 역사를 서술한 『漢京識略』에서는 장전(欌廛)이라고도 하면서 장(欌)이란 중국제도에 의거한 수궤(竪櫃)라고 하였다. 즉 장이란 말 자체가 한국적인 용어이고 조선 후기의 왕실관계에서 처음 보인다. 따라서 서울 광통교에 장을 파는 점포가 등장한 것은 19세기 무렵이 아닌가 생각된다. 과거 궁중에서만 사용되던 것이 민간에까지 수용층이 확대됨에 따라 장 전문점이 출현한 것이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층이 각각 분리되어 구성된 농(籠)과는 달리 여러 층으로 되어 있어도 옆널(울타리)이 길게 1개의 판으로 된 것을 장(欌)이라 한다. 장은 먹감나무·느티나무·오동나무 등으로 만들며 자개를 박기도 한다. 용도에 따라 찬장 ·의걸이장 ·책장 ·약장 등으로 구분한다. 장은 물건을 보관하는 기능 외에 온화한 실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색이 밝고 화사한 것이 널리 애용되었다. 또 다리를 높게 달아서 장 자체에서 풍기는 육중한 감각을 약화시키기도 하고 온돌방 특유의 바닥에서 오는 열기를 조절하기도 하였다. 본 박물관의 이 유물은 상단에 4개의 서랍이 있는 삼층 옷장이다. 자물쇠 앞바탕에는 만(卍)자형‚ 화(花)형‚ 박쥐형 등의 금속장석으로 투각장식되어 있으며 여닫이문에도 만(卍)자 형의 경첩이 견고하게 3개씩 달려 있다. 박쥐는 복(福)을 기원하는 상징물이기 때문에 안방에서 즐겨 사용하던 전통문양이다. <참고문헌> Encyber두산세계대백과-장(欌) 이종석‚ 『韓國의 木工藝』(열화당‚ 1986) 『조선목가구대전』(호암미술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