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푸른모란꽃그림백자항아리

추천0 조회수 2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푸른모란꽃그림백자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백색 자태(磁胎)에 투명유(透明釉)를 칠한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불룩 나온 질그릇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며 가로 9.0 세로 10.0 높이 17.0이다. 주둥이는 위로 조금 솟아있고‚ 겉 면에는 활짝 핀 푸른모란꽃이 음각 되어있다. 전체적인 형태는 구부(口部)에서 서서히 팽창하여 견부(肩部)에서 더욱 부풀었다가 풍만하고 여 유 있는 곡선을 그리며 서서히 줄어드는 모양이다. <세부사항> *백자 백색 자태(磁胎)에 투명유(透明釉)를 칠한 자기의 총칭. 중국에서 발명되었는데 그 모체는 청자(靑磁)이며 청자의 소태(素胎)와 유약(釉藥) 중에서 철분을 제거하여 백자를 만들었다. 실제로는 카올리나이트 라는 조직을 가진 규산(硅酸)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백색점토로 소태를 만들고 철분이 포함되지 않은 식물의 재와 카올리나이트에서 정제한 투명유를 끼얹어 1300∼1350℃ 이상의 환원염(還元焰)으로 구워낸다 <발달과정 및 역사> *백자의 역사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명나라의 영향으로 명관요백자(明官窯白磁)의 흐름을 받아들여 독특한 양식으로 발전시켰다. 《용재총화》와 《광해군일기》에 왕은 어기(御器)로 백자를 사용한다고 하였고 《세종실록》에 명나라 사신이 백자를 요구한 사실이 여러 번 있는 것에서도 이미 조선 초기에 우수한 백자를 생산하였으며 백자에 대한 선호가 대단했음을 알 수 있다. 백자는 경기도 광주와 관악산·북한산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지방으로 확산되었으며 광주는 중앙관요로서 조선 백자가마의 핵심이었다. 백자는 상·중·하품이 있었으며 상품백자는 갑(匣: 개비)에 넣어 구운 것으로 형태와 질·색이 아주 우수한 것이며 이를 갑번(匣燔)이라 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당시 상품백자는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中部面) 번천리(樊川里)와 경상북도 상주시(尙州市) 북추현리·이미외리‚ 고령군(高靈郡) 예현리 등 3개 지방에 4곳의 가마가 있다고 하였는데‚ 그 중 고령과 상주에서는 아직 상품백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⑴ 전기(1392∼1650): 전기의 상품백자는‚ 유약은 거의 빙렬이 없고 약간 푸른 기를 띠며 약간 두껍게 발라졌다. 광택이 은은하며 표면이 부드럽고 바탕 혹은 순백이며 유약과 바탕흙이 밀착되어 박락된 예가 없다. 중품은 바탕흙색이 담회색이며 유약도 담청색을 머금어 표면색은 담담한 회청색이다. 유약은 미세한 빙렬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가는 모래받침으로 번조하였다. 전기의 기형은 원만하고 유연하다. ⑵ 중기(1651∼1751): 중기의 백자는 전기의 백자보다 더 엷은 푸른 기를 띠며 바탕흙도하여 청백자로 잘못 보기도 한다. 그러나 고화도에서 자화가 충실하고 완벽하게 이루어져서 매우 치밀하고 견고하며‚ 유약에는 빙렬이 없고 기포가 많으며 바탕흙과 밀착되어 절대로 박락하는 일이 없다. 기형은 너그럽고 풍만하며 특별한 모양이 없고 몸체도 유려하거나 유연한 곡선이 없어 단정한 모양이다. <참고문헌> 정양모 저‚ "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 야후 백과사전 순백이다. 표면발색은 아주 엷은 청색이므로 자세히 보지 않으면 순백색으로 보인다. 유약은 망상의 빙렬이 있는 경우가 많고 표면에 재티가 내려앉아 담록·담청의 작은 볼록점이 있는 것도 있다. 기형은 세장(細長)하여 준수한 모습이고 각이 진 형태가 등장하며 아가리[口緣部]도 부드러운 각으로 마감한 것이 많다. ⑶ 후기(1752∼조선 말): 후기의 백자도 중기후반과 같이 상품백자 위주로 생산되었으며 후기 말 무렵에 중·하품백자가 병행하여 생산되었다. 바탕흙은 순백이며 문방구를 제외한 다른 그릇들은 기벽과 유약이 두꺼우며 유약에는 전기보다도 철분의 함유가 조금 많기 때문에 푸른기가 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