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제배

추천0 조회수 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제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음식을 담아두는 데에 쓰이는 깊이가 낮은 그릇. <발달과정/역사> 신석기 시대에 농경의 시작과 함께 음식·곡식의 저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사를 위한 그릇의 필요성에서 질그릇이 등장한다. 각 시대별로 대표적인 토기는 빗살무늬토기(신석기시대)‚ 민무늬토기(청동기시대‚ 철기시대)‚ 타날문토기(철기시대)‚ 삼국토기‚ 통일신라토기 등이 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각각 특징적인 토기들이 제작되고 사용되었다. 특히‚ 신라토기는 타날문토기가 발전한 것으로 정선된 태토에 굴가마에서 환원염으로 구웠으며 녹로를 사용하여 다량으로 생산하였다. 고온으로 구워진 경질토기로 흡수성이 거의 없고 표면에 유약을 바르지 않았으나 자연유가 부분적으로 덮여지는 경우도 있다. 가야의 토기 역시 신라의 것과 함께 대부분 1200°C를 넘는 고온의 굴가마에서 구워 단단하며 흡수성이 거의 없다. 특히‚ 배(杯)는 굽다리접시(高杯)‚ 목짧은항아리(短頸壺)‚ 목긴항아리(長頸壺)와 함께 음식을 담아두는 그릇으로 쓰였으며‚ 삼국시대부터 많이 등장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토기는 시대에 따라 조금의 변형이나 화려하게 장식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모양의 단순함이 밑바탕을 이룬다. 배는 그 형태가 특히 단순하여‚ 그릇의 깊이는 얕고‚ 바닥이 둥근 것이 많으며‚ 뚜껑을 받칠 수 있도록 뚜껑받이턱이 돌출된 것이 대부분이다. <참고문헌> 국립중앙박물관‚ "한국 고대의 토기"‚ 1997. 윤용이‚ "빛깔있는책들-우리 옛 질그릇"‚ 1999‚ 대원사.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학연문화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