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제개

추천0 조회수 1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제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배(杯)나 항아리의 뚜껑으로 쓰이는 도구. <발달과정/역사> 신석기 시대에 농경의 시작과 함께 음식·곡식의 저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사를 위한 그릇의 필요성에서 질그릇이 등장한다. 각 시대별로 대표적인 토기는 빗살무늬토기(신석기시대)‚ 민무늬토기(청동기시대‚ 철기시대)‚ 타날문토기(철기시대)‚ 삼국토기‚ 통일신라토기 등이 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에서 각각 특징적인 토기들이 제작되고 사용되었다. 특히‚ 신라토기는 타날문토기가 발전한 것으로 정선된 태토에 굴가마에서 환원염으로 구웠으며 녹로를 사용하여 다량으로 생산하였다. 고온으로 구워진 경질토기로 흡수성이 거의 없고 표면에 유약을 바르지 않았으나 자연유가 부분적으로 덮여지는 경우도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는 태토나 소성이 신라토기와 같지만 그릇모양이나 무늬에 많은 변화가 있다. 한편‚ 원삼국시대부터 나타난 뚜껑은‚ 좀더 시간이 지나서는 본격적으로 만들어져 널리 이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가야의 토기는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해서 신라의 것과 비슷한 점이 많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다. 뚜껑의 경우는 꼭지모양에서 차이가 나는데‚ 가야의 것은 단추형이 많고‚ 신라의 것은 구멍이 뚫린 굽형이 많다. 뚜껑에 따라서는 바깥면에 무늬를 새겨 장식한 경우도 있는데‚ 점열문(點列文)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단추형 꼭지나 기하학무늬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굽형꼭지와 인화문(印花文)으로 변하는데‚ 신라의 영향이 미쳤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한편‚ 항아리를 덮는데 이용된 뚜껑은 굽다리접시나 긴목항아리를 덮는 데 사용된 것보다 뚜껑지름이 보다 큰 것이 일반적이며‚ 꼭지도 단면 원형(圓形)의 점토대(粘土帶)를 붙여 만든 고리모양으로서‚ 단추형이나 굽형과 차이를 보인다. 또‚ 이러한 뚜껑은 대개 크기가 커서 그릇 내외면에 타날흔(打捺痕)이나 박자흔(拍子痕)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국립중앙박물관‚ "한국 고대의 토기"‚ 1997. 윤용이‚ "빛깔있는책들-우리 옛 질그릇"‚ 1999‚ 대원사.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학연문화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