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제고배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제고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음식을 담아두는 데에 쓰이는 굽달린 접시. <발달과정/역사>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의 선사시대 및 고대의 그릇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종류 중 하나이다. 수렵채집 위주의 생업경제를 영위하던 단계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농경사회에 접어들면서 많이 제작된다. 그래서 농경사회의 굽다리접시는 농경사회의 제례용기(祭禮容器)나 농경민의 개인용 식기(食器)로 추측된다. 중국에서도 ‘두(豆)’라고 불리는 굽다리접시는 주례(周禮)에 비추어 봤을 때‚ 나물이나 고기를 담는 그릇이며 제기로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인 사천(泗川) 구평리(舊坪里) 패총에서 출토된 바 있지만 이것은 매우 드문 예이고‚ 청동기-초기철기시대부터 주된 그릇종류로 출토된다. 특히‚ 삼국시대의 신라와 가야 지역에서 많이 나온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기본형태는 배신(杯身)과 굽다리(臺脚)가 합쳐진 것이다. 배신은 낮은 접시나 깊은 완(?)·바리(鉢)모양이고‚ 굽다리는 원통형(圓筒形)이나 절두원추형(截頭圓錐形)이다. 굽다리에는 그릇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삼각형이나 사각형의 구멍을 뚫은 경우가 많고‚ 이는 장식기능까지 겸한다. 또‚ 굽다리접시는 다른 그릇보다도 그릇뚜껑이 따로 만들어져 덮이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시기의 같은 유구에서도 뚜껑없는 굽다리접시(無蓋高杯)와 뚜껑굽다리접시(有蓋高杯)가 함께 출토되기도 한다. 두 굽다리접시는 형태상 입(口緣)의 방향과 뚜껑받이턱의 유무(有無)에서 차이가 나는데‚ 뚜껑없는 굽다리접시는 보통 입이 바깥쪽으로 기울고‚ 뚜껑받이턱이 없다. 한편‚ 가야의 굽다리접시는 다리 형태와 굽구멍의 모습에서 신라의 것과 차이가 있다. 신라의 것은 다리의 통이 넓고 외형이 직선적인 절두원추형(截頭圓錐形)이고‚ 다리에 2층으로 뚫어 놓은 구멍은 위·아래 서로 엇갈리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해 가야의 것은 다리가 길고 외형이 곡선형으로 펼쳐지는 나팔모양이며‚ 다리의 굽구멍도 아래 위로 나란히 긴 네모꼴을 하고 있다. 그러나 5-6세기가 되면 신라와 가야의 굽다리접시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그 특징이 변화하게 된다. 대체로 그릇의 전체크기가 작아지면서‚ 특히 다리가 짧아지고‚ 굽구멍도 다리의 면적이 좁아 형식적으로 뚫거나 아니면 생략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천을 통해 이른바 짧은굽다리접시(短脚高杯)라는 형식이 나타나는데 특히 낙동강 동쪽지역에서 먼저 발달하여 신라의 가야지역 점령과정을 따라 서쪽지역으로 확산된다. 이어서 한강유역이나 함경도지역까지 퍼져나가게 되는데 그 결과 짧은굽다리접시는 삼국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토기형식이 된다. <참고문헌>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학연문화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