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금동불상문‚ 범자문풍탁

추천0 조회수 7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금동불상문‚ 범자문풍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절(寺)‚ 누각(樓閣) 등의 처마 끝에 다는 경쇠. 풍령(風鈴) 또는 풍경(風磬)이라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절이나 누각 처마에 매달아 소리가 나도록 한 장엄구. 풍령(風鈴)?풍탁(風鐸)?첨마라고도 한다. 금속이나 유리로 만든 작은 범종에 추를 달고 그 밑에 물고기모양 금속판을 매달아 바람 부는 대로 흔들리며 은은한 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다. 중국에서 전해져 예로부터 선비의 시정(詩?)을 돋우고 나그네의 여정(旅?)을 달래주었으며‚ 특히 불교에서는 경세(警世)의 의미를 지닌 불구(佛具)의 하나로 수행자의 방일(放逸)이나 나태함을 깨우치는 역할을 한다. 옛날 중국에서 전래한 것으로‚ 작은 종처럼 만들어 가운데 추를 달고 밑에 쇳조각으로 붕어 모양을 만들어 매달아 바람이 부는 대로 흔들리며 맑은 소리를 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부처의 위대함과 숭고한 정신‚ 지극한 덕을 중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방편으로 불상 주위를 아름답고도 엄숙하게 장식하는 것을 장엄구(莊嚴具)라고 말한다. 여기에는 불단 주변에 놓이는 각종 불구(佛具)를 비롯하여 부처의 정토세계(?土世界)를 현세에 재현하기 위한 모든 것이 포함된다. 장엄구에는 불?보살상을 상징하는 각종 장신구와 광배(光背)를 비롯하여 수미단(須彌壇) 위에 설치되는 보개(寶蓋)‚ 불단 주변을 장식하는 번(幡) 등의 장식물이 포함되며‚ 이 외에 불전(佛典) 안에 놓여지는 금속제불탑이나 소형 보당(寶幢) 등 모든 불교 용구도 장엄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양구에 속하는 불구(佛具)조차도 장엄구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불정토(佛?土)의 세계를 사역寺域 전체로 확대해볼 때 사찰 초입에 수십 미터 높이로 세워지는 당간(幢竿)은 사찰 구역으로 들어오는 모든 중생들에게 이곳이 청정한 불정토의 세계임을 알리고‚ 겸양의 마음가짐을 지니게 함과 동시에 사찰 외곽을 장엄코자 하는 것이다. 당간 꼭대기에 용이나 봉황의 머리를 꽂고 여기에 당번 깃발을 매달아 멀리서도 부처님 세계의 장엄함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불탑의 경우 외부에는 옥개(屋蓋) 끝에 풍탁(風鐸)을 달아 불탑을 장엄하였으며‚ 내부에는 사리(舍利)를 모시기 위한 사리장엄구가 봉안되었다. 풍탁은 풍령(風鈴)이라고도 하는 일종의 종(鍾)이다. 절의 법당(法堂)이나 불탑(佛塔)의 처마 또는 옥개(屋蓋) 부분에 매달아 소리를 내게 하는 것으로 큰 것은 20㎝가 넘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 10㎝ 내외의 소형(小形)이다. 안에는 물고기 모양의 얇은 금속판이 달려 있어 바람에 흔들리면 청정한 소리가 나는데‚ 이 소리는 세상을 깨우치는 구소‚ 2002). 통일신라(국립중앙박물관‚ 2003). 네이버 백과사전-풍탁.진리의 소리를 상징한다. 풍경의 방울에는 고기 모양의 얇은 금속판을 매달아두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고기가 잘 때도 눈을 감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행자는 잠을 줄이고 언제나 깨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신라(新羅) 감은사지(感?寺址) 출토의 청동풍탁(靑銅風鐸)이나 백제(百濟) 미륵사지(彌勒寺址) 출토의 금동풍탁(金銅風鐸)이 유명하다. 풍탁에 도금(鍍金)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문 일이나 그 절의 사격(寺格)을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감은사 발굴조사 보고서(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신라왕경(국립문화재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