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양각당초문완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양각당초문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완은 잔과 크게 구별되지 않지만‚ 잔보다 약간 크며 단지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청자는 철분이 조금 섞인 백토(白土)로 만든 형태 위에 철분이 1∼3% 정도 들어 있는 장석질(長石質) 유약(釉藥)을 입혀 1‚250∼1‚300℃ 정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낸 자기의 일종으로 유약의 색은 초록이 섞인 푸른색으로 비취색(翡翠色)과 흡사하고 투명에 가까우며 태토(胎土)의 색은 흐린 회색이기 때문에 청자의 색은 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이 되며 고려사람들은 이를 비색(翡色)이라 하였다. 청자의 태토와 유약은 청자를 만든 나라와 지방‚ 그것을 만든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고 굽는 방법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 따라서도 태토와 유약의 색이 조금씩 다르다. 완은 크기에 따라서 대. 중. 소 등으로 나뉘는데‚ 그 생김새는 여러 가지로 통형(筒形)‚ 보시기형‚ 바라기형‚ 상형‚ 이형 등의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통형은 원통형. 사각통형. 사각통의 모를 죽인 모죽임형이 있고‚ 보시기형에는 입구가 바로 선 직바리형과 안으로 오그라진 오목바리형이‚ 바라기형에는 입이 밖으로 살짝 휘어진 형과 매우 심하게 휘어진형이 있다.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출토된 청동제 완(椀)은 지금의 대접과 그 형태가 같다. 이 형태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청자. 백자 제품에 이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데‚ 오늘날 사기제품. 놋쇠제품. 알루미늄제품. 스테인레스제품. 합성수지제품 등 다양하게 보급되어 있다. <참고문헌> 세계도자전집 17(김원룡외‚ 소학관‚ 197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청동기사회의 토기와 주거(이홍종‚ 서경문화사‚ 1996) 우리 옛 도자기(윤용이‚ 대원사‚ 1999) 토기와 청동기(한병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알기 쉬운 한국 도자사(유홍준?윤용이‚ 학고재‚ 2001) 한국 고고학 사전(유족조사연구실‚ 학연문화사‚ 2002) 대가야 연구(김세기‚ 학연문화사‚ 2003) 우리나라 도자기와 가마터(송재선‚ 동문선‚ 2003) <유사/관련 용어> 잔(盞)‚ 잔(彿)‚ 배(動)‚ 배(杯)‚ 배(盃)‚ 작(爵)‚ 완(燔)‚ 완(碗)‚ 완(椀)‚ 구(鵠)‚ 뿔잔형(角動形)‚ 반잔(盤盞)‚ 녹유잔(綠釉盞)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