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조여래입상

추천0 조회수 10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조여래입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붓다(Buddha:佛陀)의 형상을 회화‚ 조각 등의 조형형식으로 표현한 것으로 진흙으로 구워 조성하고 표면을 금으로 입혀 만든 것. <개설> ‘불상’이란 말의 본래 의미는 부처님의 존상을 뜻하므로 좁은 의미에서는 부처님 즉‚ 진리를 깨닫고 최고의 경지에 이른 여래의 형상만을 의미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는 사찰에서 봉안하고 있는 각종의 보살상과 나한상 및 불교의 수호신인 신중상도 불상에 포함된다. 따라서 여래(?來)상‚ 보살(菩薩)상‚ 신중(神衆)상‚ 조사(祖師)상 등 불교교리와 관련된 모든 형상의 조형물들을 불상이라고 할 수 있다. <발달과정/역사>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과 같은 경전상의 기록에 의하면‚ 석가 재세시에 코삼비국[賞彌國]의 우전왕(優塡?)과 코살라국[拘隆羅國]의 파사익왕(波斯匿?)이 각기 전단목(檀木)과 자마금(紫磨金)을 사용하여 불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은 전설적인 것이고 불멸 후 약 500여 년 간은 불상이 조성되지 않았음이 확실시되고 있는데‚ 이 시대의 예배 대상은 탑. 보리수. 금강보좌(金剛寶座) 등의 상징적인 대용물이었다. 불상 출현 이전의 이 시기를 무불상시대(無佛像時代)라 한다. 불상의 발상지에 대해서는 간다라 지방이라는 설(說)과 마투라 지방이라는 설의 논쟁이 있으나 최근에는 간다라와 마투라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거의 동시에 발생하여 점차 전파되었다는 설이 유력시되고 있다. 중국으로 불교가 전래된 것은 후한(後漢) 명제 재위 시기로 알려져 있으며‚ 이때부터 중국내의 조상(造像)활동이 전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시대에 이르러 북방 호족(胡族)들의 적극적인 불교 수용 태세에 따라 불상 제작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후조(後趙)의 건무4년명(建武四年銘‚ 334년)의 금동불좌상은 현존하는 최고의 명문이 있는 불상이다. 대체로 5세기 후반까지의 북위시대의 불상에는 서역이나 간다라의 영향이 강하였으며‚ 6세기에 들어서부터 좀더 중국화된 불상 조각이 발달하였다. 이것은 불교 자체가 점점 토착화되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규모의 석굴 사원의 조영이 시작되었다. 돈황의 천불동(?佛?)을 비롯하여 병령사(炳靈寺)‚ 맥적산 석굴(麥積山石窟). 운강 석굴(雲岡石窟)‚ 용문 석굴(龍門石窟)‚ 천룡산 석굴(?龍山石窟) 등 남북조시대에서 당대(唐代)까지 많은 사원과 불교 벽화와 불상이 조성되었다. 이와 같은 석굴 사원은 중국 북방에 치중되었다. 우리나라의 불교조각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되는데‚ 고구려의 소수림왕 2년(372년)에 중국의 오호십육국의 하나인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여 중국의 전래품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이 뚝섬상과 같이 네모난 대좌 위에 두 손을 앞에 모은 선정인(禪定印)의 모습을 한 불좌상은 우리 나라에서 제작된 불상 중 가장 초기의 형식을 대표하는 것이다. 즉‚ 옛 고구려의 도읍인 평양 원오리(元五里) 절터에서 나온 소조(塑造) 불좌상이나‚ 옛 백제의 도읍인 부여의 규암면 신리에서 출토된 금동불좌상 그리고 역시 부여 군수리사지(軍守里寺址)에서 출토된 납석제(蠟石製) 불좌상들은 대체로 6세기의 삼국시대 초기 불상을 대표하는 예들이다. <참고문헌> 韓國佛像의 硏究(黃壽永‚ 三和出版社‚ 1973)‚ 韓國의 佛像(秦弘燮‚ 一志社‚ 1976)‚ 韓國彫刻史(文明?‚ ?話堂‚ 1980)‚ 佛像硏究(崔完秀‚ 知識産業社‚ 1984)‚ 韓國古代佛敎彫刻史硏究(金理那‚ 一潮閣‚ 1989)‚ 高麗朝鮮時代의 彫刻(文明?‚ 韓國美術史의 琅況‚ 一志社‚ 1992).)이 승려 순도(順道)와 불상. 경문(經文)을 보냄으로써 비롯되었다. 이어서 백제에도 384년(침류왕 1년)에 중국 동진(東晉)에서 마라난타(摩羅難陀)라는 승려에 의하여 불교가 전래되었다. 새로운 종교의 전파와 함께 전해졌을 불상은 절에 안치되거나 승려들에 의하여 예배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곧 고구려나 백제에서도 불상이 만들어졌을 것이며 초기에는 대체로 중국식 불상 양식을 모방하거나 그 영향을 크게 받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즉‚ 서울 근교 뚝섬에서 출토된 금동불좌상은 현존하는 초기의 불상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중국의 북위 초인 5세기 초나 중엽경의 불상 양식과 유사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