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천0 조회수 6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성인남자가 머리에 쓰던 관모로 머리에 덮는 부분인 모자(帽子)와 얼굴을 가리는 차양부분인 양태(凉?)로 이루어진다. 후세에 갓 또는 입자(笠子)라고 하면 곧 흑립을 지칭하게 되었다. <역사> 갓의 역사는 멀리 고대에 소급되며‚ 그 시초형(?初形)은 경주 금령총(金鈴塚)에서 출토된 입형백화피모(笠形白樺皮帽)와 고구려 고분인 감신총(龕神塚) 벽화에 나오는 모자와 양태의 구별이 뚜렷한 패랭이형의 갓을 쓴 수렵인물에서 볼 수 있다. 문헌상으로는 ≪삼국유사≫에 신라 원성왕이 꿈에 복두(邏頭)를 벗고 소립(素笠)을 썼다는 기록이 있어 갓은 삼국시대에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관리들의 관모로 제정됨으로써 신분이나 관직을 나타내는 사회적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그에 관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1357년(공민왕 6)에 문무백관에게 갓을 쓰도록 한 것인데‚ 이어 1367년 7월에는 아문(衙門)의 정3품 이하 관원들에게 각기 품수에 따라 백옥·청옥·수정 등으로 장식된 흑립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1374년 4월에는 재상(宰相)·중방(重房)·각문(閣門)이 모두 갓을 착용하도록 하였는데‚ 그때의 갓은 재료나 제작기술상 조선시대의 흑립과는 다르나 형태는 패랭이형일 것이다. 갓은 고려말에서 조선 초에 걸쳐 패랭이·초립의 단계를 거쳐 흑립으로 발전되었다. 태종 때 한때 백관들이 갓을 쓰고 궁궐에 출입한 적이 있었으나‚ “조로(朝路)에 우설일(雨雪日)이 아닌데도 대소관리(?小官吏)가 착립(着笠)하고 있어 미편(未便)하다.”고 하여‚ 이듬해부터 조정에서는 사모(紗帽)를 쓰게 되고 갓은 편복(便服)에 착용하게 되었다. 다양했던 관모 중 가장 널리 사용되었던 갓은 특히 양반층에서 즐겨 썼다. 1894년 단발령의 시행으로 중절모자가 등장하지만 갓은 계속 착용되었다. 1895년에는 천인층(賤人層)에게도 갓을 쓰도록 허락하고 패랭이 쓰는 것을 금함으로써‚ 의관제도에 귀천의 차별이 사라지고 모든 사람들에게 일반화되었다. 조선의 갓 문화는 계속 이어져 민족항일기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의관 갖추기를 잃지 않았고‚ 지금도 두루마기에 갓을 쓴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한자로 ‘흑립(黑笠)’ 또는 ‘입자(笠子)’로 표기되기도 하는 갓은 성인남자용으로 그 형태는 위보다 아래가 조금 넓은 원통형의 모옥(帽屋)‚ 즉 모자집과 아래가 약간 우긋하게 곡선을 이루고 있는 양태‚ 즉 차양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갓을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갓끈〔笠纓〕이 있다. 갓은 싸기(갓싸개)의 종류에 따라 진사립(眞絲笠)·음양사립(陰陽絲笠)·음양립(陰陽笠)·포립 (布笠)·마미립(여 만든 경쾌한 형태의 ‘김순고입자(金舜皐笠子)’가 등장하였다. 그러다가 곧 다시 모자는 점점 낮아지고 양태는 우산을 펼친 모양처럼 넓어졌다. 이렇게 모자가 낮고 양태는 극히 넓은 형태의 갓이 명종 말기까지 쓰였다. 그러나 선조 때에는 초년부터 모자가 높고 양태가 좁아지기 시작하여 말년까지 계속되었다. 광해군 때에는 그와 반대로 양태가 극히 넓어지고 모자가 아주 낮아져 안반처럼 넓은 양태에 마치 주발을 엎어놓은 것 같은 모양의 갓이 유행되었다. 넓은 양태의 갓이 인조 말부터는 갑자기 모자도 높아져서 이른바 ‘큰갓’이 되었으며‚ 효종 때까지 변함없이 사용되었다. 또‚ 숙종 때는 한때 모자가 낮고 양태가 좁은 ‘작은갓〔小笠〕’이 유행했다. 그러나 영·정조 때의 갓은 그 시대의 풍속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태가 비교적 넓었다. 거기에 밀화나 호박·대모 등으로 만든 갓끈을 가슴 밑으로 길게 늘어뜨려 그 멋을 한층 더하였다. 순조 말기에는 양태가 더욱 넓어져서 종전의 어깨를 덮을 정도에서 앉은 사람을 완전히 덮을 정도가 되었는데‚ 흥선대원군 집정 이후 사회개혁의 일환으로 종래의 ‘큰갓’은 ‘작은갓’으로 변화되었다. 완고한 것으로만 되어 있던 선비의 의관‚ 특히 그들이 중히 여기던 갓이 이렇듯 시속에 따라 변천해왔다는 것은 재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갓은 질이 좋은 대나무를 아주 가늘게 쪼개어서 실올처럼 가늘고 길게 다듬어서 양태와 모자를 만들어 붙인 다음 싸기를 하고 옻칠하여 완성하는데 갓을 완성하기까지는 3가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세죽사(細竹絲)나 말총으로 갓모자를 만드는 일과 머리카락같이 가는 대로 양태를 엮는 일‚ 또 갓방에서 갓모자와 양태를 서로 모아 갓을 완성하는 일로서‚ 이 세 공정은 각각 따로 행해지는 것이 예사였다. 갓을 모으는 일 중에서는 양태가 아래로 우긋하게 곡선을 이루도록 모양 잡는 일‚ 속칭 ‘버렁잡는다’고 하는 일이 가장 숙련을 요하는 일이다. 제주도의 총모자와 거제도의 양태가 특히 유명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갓(흑립)은 인류가 고안해낸 관모 중 세계에서 으뜸가는 제일 화사한 관모이다. 머리에 얹되 쓴 것 같지도 않게 가볍고‚ 섬세하게 짜여진 차양 위에 내리쬐는 햇볕은 얼굴에 엷은 그림자를 드리워 은근한 아름다움을 표출한다. 그러면서도 양태가 넓은 갓을 쓰고 좌정하면 이에서 위풍이 당당하고 기품 있는 선비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이 유물은 대나무로 바탕에 그물과 같이 판을 짠 후 말총과 대나무를 아주 가늘게 쪼개어 실올처럼 가늘고 길게 다듬어서 양태와 모자를 만들어 붙인 다음 싸기를 하여 완성하였는데 옻칠은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모자의 경우‚馬尾笠) 등으로 나뉘고‚ 신분에 따라 달리 착용되었다. 시속에 따라 갓모자의 높이와 양태의 넓이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갓의 모양이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은 1485년(성종 20) 3월 “입자의 모양이 승립(僧笠)과 같으니 이를 개정하라.”고 하는 기록에서부터이다. 당시의 갓은 모자의 정상이 둥그렇고 테가 넓은 형태였다. 연산군 초에는 둥글던 모정(帽頂)이 조금 뾰족하게 변하였고‚ 이 후부터 모자의 모양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원통형으로 된 것이라 생각된다. 중종 말기에는 모자의 높이가 극도로 높아지고 양태는 극히 좁아졌으며‚ 명종 초에는 모자의 높이와 양태의 넓이를 적당히 가감하 원통형으로 아래와 위의 지름이 같고 모정(帽頂)도 평평하다. 향나무를 잘라서 나무구슬과 함께 엮은 갓끈이 있고‚ 갓끈의 한쪽에는 노란색 마노가 달려있다. 갓끈은 원래 갓을 머리 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턱 밑에 매는 실용적 구실을 하던 부분인데‚ 차츰 재료가 다양해지면서 장식적인 구실도 겸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민족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7) <유상용어> 흑립(黑笠)‚ 입자(笠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