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각함

추천0 조회수 7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각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쇠뿔〔牛角〕을 이용하여 만든 상자. <역사> 우리나라 화각공예의 유품으로 가장 오래 된 것은 신라시대에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보이는 바느질자〔針尺〕를 비롯하여‚ 왕실의 보고(寶庫)인 쇼소원(正倉院)에 소장되어 있는 비파(琵琶)의 작은 부분에 이 화각과 대모(?瑁)가 장식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화각공예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공예로서‚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 고려‚ 조선조로 계승되어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당나라 대모공예의 기법과 기능이 흡사한 복채색화법(伏彩色怜法) 혹은 이면화법(裏面怜法)을 통하여 상호 관련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복채색화법은 고대 이집트의 미라 관장식에서 선구적인 기법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수정‚ 호박‚ 유리‚ 대모 등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 뒷면에 그림을 그려‚ 이 그림이 투명체를 통하여 영상이 나타나도록 하는 기법인 복채색화법이 사용되었다. 이런 기술이 한반도에 전래된 시기는 중국문화가 꽃을 피웠던 수나라와 당나라를 전후한 시기일 것이다. 특히‚ 이 시대에 들어온 문화요소 중 대모공예도 전하여졌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 공예는 당시에도 희귀하였기 때문인지 국법에까지 규정하고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즉‚ ≪삼국사기≫ 권13 잡지 제2 옥사조(屋舍條)에 “진골(眞骨)의 방은 넓이와 길이가 스물여덟 자를 넘지 못하며 금‚ 은‚ 놋쇠〔鍮〕‚ 돌‚ 오채(五彩) 등을 비롯하여 상(床)에는 대모와 사향 등을 장식할 수 없다.”라고 명확하게 법으로 규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국법으로 규제받고 있는 재료 중 화각재료로 쓰이는 오채를 비롯하여 대모 같은 것은‚ 당시 왕족계인 성골귀족 이외에는 장식할 수 없는 희귀하고 귀중한 공예재료로 쓰이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단청재료인 오채와 대모재료 같은 것은 오늘날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생산되지 않는 수입품이다. 이렇듯 희귀한 공예재료를 가지고 생산된 제품은 신라시대는 물론‚ 조선시대에도 규제를 받았다. 이처럼 희귀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화각공예는 이면화법에 의하여 이룩된 공예로서‚ 이 기법은 바로 이집트에서 개발된 복채색화법을 응용하여 우리나라의 독창성을 살린 것이다. 조선시대 문헌 중 ≪임원십육지≫의 해생우각법(解生牛角法)에 따르면 “쇠뿔을 종이나 송판같이 얇게 만든다.”고 되어 있으며‚ 염골각법(染骨角法)에 따르면 오색의 염료로 골각에 염색하였던 사실을 찾아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단편적인 자료를 근거로 화각공예의 기원과 역사적인 배경을 엿볼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함(函)과 궤(櫃)는 물건을 넣랑방에 두고 남성이 주로 사용하는 함으로는 연함(煙函)‚ 인함(印函)‚ 문서함 등 문방구류를 보관하는 용도의 함과 관모함(冠帽函)‚ 관복함(冠服函) 등 의복을 보관하는 함이 있다. 재료에 따라서는 오동함(梧桐函)‚ 초각함(草角函)‚ 죽장함(竹張函)‚ 교피함(鮫皮函) 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함은 그 용도가 무엇이든 소형이므로 큰 가구 위에 올려놓고 장식을 겸한 수장구(收藏具)로 쓰기 때문에‚ 조형상 형태의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색채‚ 문양‚ 질감표현 등에 많은 기교를 나타내고 있다. 형태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등으로 단조로우나 전면 뚜껑과 몸체를 연이은 모서리까지 장식이 풍부하다. 또한 재료의 화려함과 복잡한 문양이 시문된 것 외에는 특히 금구(金具) 장식이 많다. 즉‚ 면끼리 맞닿는 모서리는 흔히 맞짜임을 하거나 연귀맞짜임으로 짜는 게 보통인데‚ 함의 모서리에는 무쇠나 주석 등의 감잡이 장식을 하여 더욱 구조적인 힘을 받게 하였다. 그리고 뚜껑 앞에는 앞바탕장식‚ 귀퉁이에는 불로초나 당초문의 귀싸개장식이 있고‚ 환고리를 운치 있게 달아놓는다. 또한‚ 큰 가구에서 볼 수 있는 마대(馬臺)의 축소된 운문(雲文)의 풍혈(風穴)장식은 매우 귀엽고 사랑스런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재료로는 가볍고 좀이 잘 안 먹는 오동나무나 결이 고운 소나무·은행나무·배나무가 많이 쓰이고‚ 내부에는 한지를 바르고‚ 겉에는 옻칠을 하여 늘 반들반들하게 광을 내어 썼다. 이 유물은 보상화문양의 앞바탕에 화엽문(花葉文)이 음각되어 있고‚ 끝부분에는 죽절과 원형장식이 달려있는 길목이 보이고 여기에 물고기 자물쇠가 채워져 있다. 귀장식은 화문(花紋)이고 4개의 모서리부분에는 여의문과 화문의 놋쇠장식을 둘렀다. 고추잎감잡이가 보이며‚ 함의 4면과 천판의 윗면에는 우리나라 4계절의 풍속도를 그려놓았는데 각 계절마다 피는 대표적인 꽃들과 나무‚ 그리고 놀이문화 등을 자세하게 그려놓아 그 화려함을 더하고 있다. 천판에는 특히 사엽(四葉) 화판(花板)의 광두정과 뒷판과 천판을 연결해 주는 곳엔 제비초리경첩이 달려있고 여기엔 화려한 선문양이 음각되어 있다. 전체는 모두 화각을 붙인 후 그 위에 그림을 그렸으며‚ 색채가 매우 화려하다. 천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댄 화각은 박락된 부분이 보이며‚ 건조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목가구(2002년‚ 서울역사박물관) 운현궁 생활유물(2003년‚ 서울역사박물관) 옛가구의 아름다움(1996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유사용어> 함(函)‚ 궤(櫃)어 보관할 수 있게 만든 상자형 가구라는 점은 같으나 형태가 다르다. 함은 비교적 소형으로 상부에 뚜껑이 있거나 뒷면에 경첩을 단 것이다. 궤는 함에 비하여 크기가 크고 문판(門板)이 앞면에 부착되거나 뚜껑을 위에서 열게 되어 있다. 이들은 의류나 서책‚ 귀중문서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다. 함이나 궤는 각 가정에서 필요에 따라 적절히 만들어 사용했기 때문에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종류도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안방에 두어 여성이 주로 사용하는 함으로는 작은 보석함으로부터 실함‚ 바느질함‚ 비녀함‚ 혼함(婚函) 등이 있다. 그리고 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