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물레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물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솜(고치)에서 실을 자아내는 기계다. <역사> 솜이나 고치에서 하루 15-20개 가락에 실을 드릴 수 있다. 중국에서 목화씨를 전래한 문익점(文益漸)의 손자 래(萊)가 목화씨에서 실을 자아내는 틀을 발명하였다고 하여 ‘문래’라 부른 것이 변이 되어 물레가 되었다고 전한다. 《농가월령가》에는 ‘물네’‚《월여농가(月餘農歌)》에는 ‘방차(紡車)’‚ ‘문레’로 표기되었다. 경상남도 영산에서는 ‘물리’라고도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물레는 바퀴와 설주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바퀴에는 다음의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나무를 깎아 만든 여러 개의 살을 끈으로 얽어매어 보통 6각의 둘레를 만들고‚ 가운데 굴대를 박아 손잡이를 붙인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여러 개의 살을 붙여서 만든 두개의 바퀴를 나란히 놓고 바퀴테 사이사이를 대나무 쪽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몸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물레는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서 많이 쓴다. 물레의 바퀴는 양쪽에 기둥이 있어 떠받치며 기둥 받침대에 연결된 나무 끝에 괴머리가 달린다. 괴머리에는 가락이 실려서 바퀴가 돌아갈 때‚ 고치에서 실이 드려진다. 가락은 하나를 싣는 것이 원칙이나 실을 여러 겹으로 뽑으려 할 때는 둘이나 셋을 쓴다. 물레는 많은 기구들이 하나의 구조를 이룬 형태이다. 크게는 바퀴 부분과 괴머리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물레바퀴가 돌아감에 따라 괴머리 부분에 있는 가락이라고 하는 쇠꼬챙이가 돌면서 실을 감게 된다. 이 때 물레줄이 물레바퀴와 가락을 걸쳐 감아 물레를 돌리는대로 가락이 돌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물레의 바퀴 부분은 설주라고 하는 두 개의 기둥에 의해 떠받쳐지며 설주 아래에는 받침대가 있다. 이 받침대는 가롯대라고 하는 나무를 사이에 두고 괴머리 부분과 연결된다. 가롯대 위에는 물레돌이라고 하는 넓적한 돌을 놓아 물레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물레바퀴의 중심부분에는 꼭지마리라고 하는 손잡이가 있어 바퀴를 돌릴 때 사용한다. 물레의 종류는 물레바퀴에 따라 다르다. 나무를 깎아 만든 여러 개의 살을 끈으로 매어 육각형으로 만든 육각물레가 있고‚ 여러 개의 살을 붙여서 만든 두 개의 바퀴를 나란히 놓고 그 사이를 가는 나무 조각으로 연결하여 원형으로 만든 방구통 물레가 있다. 이들은 모두 회전축을 이용하여 돌린다. 물레에는 다음과 같은 부분 명칭이 있다. ① 꼭지마리: 물레의 손잡이. ② 동줄: 물레바퀴와 바퀴를 연결한 줄. ③ 굴똥: 물레바퀴 가운데 박아 바퀴를 돌리는 둥근 나무. ④ 물레줄: 물레의 몸과 가락을 걸쳐 감은 줄. 물레를 돌리는 대로가리장나무: 물레의 몸과 괴머리를 연결시키는 나무 ⑫ 괴머리: 물레의 왼쪽‚ 가리장나무 끝에 달린 가락을 꽂게 된 부분 ⑬ 괴머리기둥: 괴머리에 박혀 가락이나 가락토리를 끼우게 된 두 개의 나무 ⑭ 설주: 물레바퀴를 떠받치고 있는 두개의 나무. 이러한 부분 명칭들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이 물레는 4개의 나무살을 끈으로 얽어매어 8각의 둘레를 만들고 가운데에 굴대를 박아 손잡이를 만들었으나 꼭지마리(손잡이)는 현재 유실된 상태이다. 상태는 대체로 양호하며‚ 가락 2개도 함께 있다. 동줄은 최근에 새것으로 바꾼 것으로 보이며‚ 굴똥에는 검은색‚ 갈색 실이 3군데 감겨있는 것이 보인다. 가락은 그 길이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철로 만들었고 중간부분에 각각 3곳에 피혁이나 천으로 가락의 둘레를 감아 고정시켜 놓은 부분이 보인다. 가락 표면에는 붉은 녹이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5) <유사용어> 물네‚ 물래‚ 방차‚ 방거‚ 취자거 가락이 돌게 함. ⑤ 물레돌: 물레 돌릴 때 움직이지 않도록 물레 바닥의 가리장나무를 누르는 넓적한 돌. ⑥ 고동: 물레 가락에 끼워놓은‚ 두개의 고정시키는 방울 같은 물건. 물레줄이 두 고동사이에 걸쳐짐 ⑦ 가락: 물레로 실을 자을 때 고치에서 나오는 실을 감는‚ 두 끝이 뾰족한 쇠꼬챙이. 실이 감기는 데 꽂으며 길이는 한 뼘 정도 ⑧ 가락옷: 물레로 실을 자을 때 가락에 끼어 실을 감아내는 댓잎이나 종이 또는 지푸라기 ⑨ 가락토리: 물레로 실을 겹으로 드릴 때‚ 가락의 두 고동 사이에 끼우는 대통 ⑩ 물레바퀴: 물레에 딸린 바퀴로 이것이 돌아감에 따라 가락이 돌면서 실을 감게 됨. ⑪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