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등경(燈?)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등경(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등경은 등잔을 적당한 높이에 얹어 불을 밝힐 수 있도록 고안된 등대(燈臺)이다. 흔히 등경걸이라고 부른다. 이중 특히 놋쇠나 백통으로 만든 고급품을 유경(鍮?)이라 한다. <역사> 등잔을 적당한 높이에 얹어 놓을 수 있게 한 등잔대는 고구려 쌍영총 고분 벽화에 고배형등(高杯形燈)이 그려져 있고‚ 고신라시대의 토기로 만든 다등식등잔(太燈式燈盞)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일찍이 이러한 등기들이 발달했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도경》에 궁중에서 등잔이나 초를 필요에 따라 바꿔 올릴 수 있는 광명대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등잔 전용의 등경과 초 전용의 촛대로 분리되어 발달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등잔과는 보통 별개로 만들어지나‚ 등잔에 긴 대를 붙여 일체형으로 만든 것도 있다. 또한 등잔을 걸은 형태가 ‘두(斗)’자와 흡사하다 하여 광명두리[光明斗]라고도 불린다. 신분에 관계없이 일반가정에서 널리 애용되던 실내조명기구이다. 등경은 보통 사각‚ 팔각‚ 원형의 불판 위에 2-3단의 층을 두어 등잔 받침을 자유롭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불판은 때로 재떨이를 겸하여 사용되기도 하며 하단에 서랍을 만들어 소도구를 넣기도 한다. 대개 높이는 40-90cm 내외‚ 하반경의 직경은 20cm 전후이다. 재료는 청동·철·놋쇠·나무·도기(陶器)를 이용하였다. 대표적인 등경의 형태는 널찍한 하반에 서너 개의 거치형 단급(段級)이 있는 등가가 세워진 것이다. 이 단급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등잔걸이를 걸쳐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등잔 밑에는 쇠뿔형(牛角形)·유방형·타구형의 기름받이를 달아놓았다. 높이가 120cm 정도의 대형 등경도 있는데 이는 제사용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높이 20cm‚ 하반경 10cm 내외의 소형 등경은 주로 부엌에서 벽에 걸어 사용하였던 것으로 부엌등이라고도 한다. 유기등잔은 주로 안방에서 사용되었다. 둥근 받침에 3-4단의 걸이용 기둥을 세우고 등잔과 기름받이를 위 아래로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름받이는 등잔의 기름이 타면서 덜어지는 찌꺼기를 받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기둥에 걸이용 단을 만든 것은 필요에 따라 등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둥의 상단 부분은 고사리말림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에서 나타난다. 여기 보이는 등가는 나무로 만들었으며 걸이용 층은 2단으로 되어 있고 등잔받침이 걸치는 부분의 나무가 깨져 흔들거린다. 불판은 8각이며 기둥의 꼭대기 구멍에는 줄이 묶여 있어 등잔받침이 빠지지 못하게 하였다. 불판은 대가 꽂혀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받침의 안을 파낸 흔적이 보인다. 재떨이로 사용된 흔적이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유사용어> 등경걸이‚ 유경(鍮?)‚ 광명두리(光明斗)‚ 부엌등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