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화백자십장생타구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화백자십장생타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가래나 침을 뱉도록 마련한 그릇. 타담호(唾痰壺). 타구(唾壺)라고도 함. <발달과정/역사> 백자란 순백색의 태토(胎土) 위에 투명한 유약(釉藥)을 씌워서 구워낸 자기로‚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룬다. 백자의 표면색은 우유빛과 같은 유백색(乳白色)‚ 겨울눈과 같은 설백색(雪白色)‚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靑白色) 등 다양한데‚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보통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가 되면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타구는 가래나 침을 뱉는 그릇으로‚ 타호(唾壺)‚ 타담호(唾痰壺)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사기나 놋쇠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대개 윗부분은 직경이 넓고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허리는 잘록하여 잡기 쉽게 하였고‚ 가래나 침이 담기는 곳은 바닥을 평평하게 하여 안정감 있게 만들었다. 허리가 덜 잘록한 타구 중에는 음식을 먹을 때 뼈를 발리거나 돌을 씹었을 때 사용하던 `뼈 발리기`로 사용된 것도 있었다. 조선의 민가에서는 방안에 요강과 함께 받침에 얹어서 방안 한쪽 구석에 놓아두었다고 한다. 타구의 제작은 일반 그릇의 성형과는 달리 각기 다른 형태의 두 개의 그릇을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19세기 백자에는 십장생이 민화풍의 문양으로서 두루 애용되었고 그 외에도 까치와 호랑이‚ 학‚ 봉황‚ 박쥐‚ 물고기와 파도‚ 산수‚ 매화‚ 모란‚ 연꽃‚ 도식화된 문자 등이 자주 시문된다. <참고문헌> 삼성미술문화재단‚ 『조선백자전』Ⅱ‚ 1985 정양모‚ 『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김재열‚ 『백자Ⅰ‚ 분청사기』‚ 예경‚ 2000 방병선‚ 『조선후기 백자연구』‚ 일지사‚ 20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