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능화판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능화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고서의 표지를 장식하기 위한 종이를 찍는 목판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에서 능화판이 처음 제작된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되고‚ 조선시대에도 꾸준히 제작되었지만 서양식 제본기술의 유입으로 점차 사라지고 말았다. 초기 능화판의 문양은 주로 불교와 관련된 연화문이나 만자문이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찰에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능화판에는 일정한 무늬의 반복만으로 이루어진 단일문양체계와 단일체계의 지문 위에 전문을 곁들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사용되는 문양으로는 만(卍)자문‚ 귀갑(龜甲)문‚ 방격자(方格子)문‚ 뇌(雷)문‚ 연당초(蓮唐草)문‚ 국화문‚ 태극문‚ 수복(壽福)문‚ 십장생문‚ 매죽문‚ 운룡(雲龍)문양‚ 칠보(七寶)문양 등이 있다. 능화판문양(菱花板紋樣)은 문양의 사실적인 면에 충실하면서도 유려한 선으로 표현하며 선의 속도감과 예술적 감각 그리고 구성의 표현에 완벽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였으나 점차 도식화 되어갔다. 이 유물은 나무판을 직사각형으로 다듬은 뒤 한 쪽면에만 만(卍)자 무늬를 연속해서 배치하였다. 양쪽 끝에 손잡이 판이 없는 형식으로 좌‚ 우 양면은 거의 직선에 가깝게 면을 다듬었으나 위‚ 아래의 긴 면은 다듬기는 하였으나 약간 구불구불한 편이다. 크기로 보아 큰 책보다는 약간 작은 크기의 책 표지를 만들 때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판의 무늬를 자세히 보면 중간중간에 선이 떨어져 나간 것이 보이는데 이는 오랜 사용과정에서 생긴 현상으로 보인다. 이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훼손된 곳이 없는 상태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