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당초문전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당초문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궁전이나 사찰‚ 무덤의 바닥을 장식하던 벽돌. <발달과정 및 역사> 전돌은 삼국시대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며 용도에 따라 바닥전‚ 벽전‚ 기단전 등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 다양해 진다. 특히 바닥전은 그 종류와 수량이 방대하며 여러 무늬가 새겨지는데 보상화무늬와 연꽃무늬가 주류를 이룬다. 백제에서는 산경무늬‚ 연화무늬‚ 반용무늬‚ 봉황무늬 등 다양한 무늬가 조각된 전돌이 출토되었다. 산봉우리와 구름‚ 나무를 표현한 산경문전은 산악신앙과 도교의 영향을 짐작하게 하고‚ 도깨비전은 상체가 과장되게 표현되어 근육질의 젊은이를 보는 듯 늠름하고‚ 부족하지 않은 양감의 연화문은 마음을 진정시켜주고‚ 회오리를 일으키는 불꽃무늬는 힘찬 기운을 느끼게 한다. 어느 하나 부족함이 없는 명품으로 세련되고 화려한 의장은 백제 전돌공예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통일신라시대의 전돌편으로서 네면중에서 한 쪽면이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정면쪽에는 인동당초문이 뚜렷하게 돋을새김(陽刻)되어 있는데 그 위 아래에는 주연(周緣)이 없이 당초문만 자리하고 있다. 후면에는 특별한 무늬 없이 그냥 막대선문만으로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우측면에도 특별한 무늬 없이 그냥 막대선문만으로 단순하게 처리하였으나 대부분 파손되었으며 일부만 남아 있어 그 원형을 추정해볼 수 있다. 좌측면에는 깨어져 나간 상태라 더 이상은 알 수 없다. 상면에는 다른 전돌들에서와 같이 보상화무늬나 연꽃무늬가 보이지 않고 그냥 단순한 막대선문만이 보인다. 하면인 바닥부분은 약간 검은색계통으로 아무 문양 없이 마감처리하여 다른 면들과는 다른 차이점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파손된 부분이 많아 정확한 벽돌의 양상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