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청화채어형연적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청화채어형연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벼루에 먹을 갈 때 쓸 물을 담아두는 그릇. <발달과정/ 역사> 중국 원(元)나라 때 완성되어 명(明)나라 때 절정에 이르렀다. 그 뒤 한국·일본·베트남 등 동아시아와 유럽에도 전파되었는데‚ 한국에는 14세기 말엽에 전래되어 15세기 중엽 생산단계에 들어갔다. 청화자기 생산단계는 크게 삼단계로 나뉜다. 먼저 초기인 15세기의 것은 명나라 청화와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하나‚ 16세기에 이르러 사실적인 매조무늬[梅鳥文]·산수무늬 등이 등장하고 안정되고 아름다운 유약의 조성과 양감 있는 부드러운 기형(器形) 등으로 독특한 미를 형성하여 조선 청화의 특색을 보여준다. 중기에는 난초를 주로 한 초화무늬[草花文]를 간결하게 그려 넣었으나 점차 무늬가 커지고 세필로 된 산수무늬·용무늬 등이 나왔다. 후기에는 물고기·용 등 다양한 무늬가 기면(器面) 전체를 메웠는데‚ 산수무늬·파도무늬·십장생무늬 등에서 한국적 특질을 찾아볼 수 있다. 청화안료는 회회청(回回靑)이라고 하여 처음에는 중국으로부터 수입하였으나 수입이 어려워지자 국산 토청(土靑)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청화자기는 초기에는 광주(廣州) 번천리(樊川里)·도마리(道馬里)‚ 중기에는 금사리(金沙里)‚ 후기에는 분원리(分院里) 등의 관요(官窯)에서 관장제 수공업체제로 제작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연적은 수적(水滴) ·수주(水注)라고도 하는데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물이 나오는 부위와 물과 공기가 들어가는 구멍을 두어 쉽게 물을 넣어서 쓸 수 있게 되어 있다. 머리와 꼬리를 맞닿도록 몸을 구부린 물고기 모양으로 매우 익살맞으며 귀여운 연적이다. 물고기의 표현은 정성스럽게 깎아 내어 만든 비늘과 꼬리‚ 그리고 등쪽의 작은 지느러미 등으로 볼 때 매우 세심하게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머리쪽 맨 앞의 지느러미와 머리와 꼬리 사이의 빈 공간에 각각 주구(注口)를 마련하였다. 지느러미쪽의 구멍은 머리 아랫부분까지 약간 걸쳐서 뚫려 있다. 눈은 커다란 타원형으로 눈의 범위를 표현한 뒤 그 안에 다시 작은 눈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운데에 눈동자를 표현할 정도로 매우 세밀하다. 물고기 모양인 상면에서 바닥인 아래로 내려가는 선은 직각으로 안으로 오므라든다. 검은색의 바닥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청화채(靑畵彩)하였는데 청화(靑畵)의 발색(發色)은 약간 어두운 편이다. 물고기의 머리쪽에 있는 주구부분의 지느러미가 조금 깨어져 나갔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