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소병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소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물이나 술 등의 액체를 담기 위해 청자로 만든 용기. <발달과정/ 역사> 청자(靑磁)는 철분이 극소량 들어 있는 태토 위에 철분 1-3%의 장석유(長石釉)를 바르고 환원염으로 구워 유약 속의 철분이 청록색으로 변한 자기를 말한다. 대체로 환원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불순물이 함유되거나 해서 유색(釉色)이 황녹색이나 회녹색‚ 때로는 산화되어 황갈색을 띤 것도 청자로 부르고 있다. 중국 절강성 북부의 월주요(越州窯)에서는 한대부터 원시적인 청자가 만들어졌지만 5-6세기경부터는 차츰 발전하여 제작지도 화남·화북으로 퍼져나갔으며 당나라를 거쳐 송대에는 절정을 이루어 청자요가 중국 각지에 있었다. 특히 복건성‚ 절강성‚ 광동성의 해안지역에서 많은 요지가 발견되었고 청대의 경덕진요에서는 송·명대 청자의 모조품제작이 성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청자의 발생은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부터 중국 월주요에서 만든 원시청자인 고월자(古越磁)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는 학설과 10세기 후반에 고려의 중앙집권화 및 신지배층의 중국도자에 대한 수요에서 청자제작이 새롭게 시작되었다는 학설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소형의 녹갈색을 띠는 청자병이다. 바닥에는 굽은 없이 가운데가 살짝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평저바닥을 갖고 있으며‚ 주위의 네군데에 내화토를 받친 흔적이 남아 있다. 몸체최대지름이 거의 바닥부분에 자리하고 있어 전체적인 모습은 매우 안정적이다. 위로 올라가면서는 점점 자연스럽게 안으로 오므라들면서 좁은 목을 형성한 뒤 여기서 다시 역깔때기형으로 길게 뻗어 올라가며 끝에서 살짝 외반하여 입술처리를 마감한다. 몸체 표면에는 특별한 문양이 없는 상태로 목 아래부분에 두 줄의 굵은 음각선문을 돌려 단조로움을 피하고 있으며‚ 병의 표면에는 빙열이 가득하다. 아쉽게도 몸체의 이곳 저곳에 이물질이 묻기도 하고 유약이 잘 묻지 않은 곳도 보인다. 전체적으로는 훼손된 곳이 한군데도 없는 완전한 상태의 유물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