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기병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기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액체를 담는 그릇의 한가지로서 몸통의 크기에 비해 아가리가 매우 좁은 것. <발달과정 및 역사> 고려시대의 질그릇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굴가마(登窯)를 이용한 질그릇 제작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막연히 흙그릇을 지칭하는 토기(土器)라는 용어와는 구별된다. 근래에 들어 고려청자와 함께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어 고려질그릇을 제작하던 가마터에 대한 조사와 특색‚ 편년을 연구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고려가 성립하는 10세기의 질그릇은 통일신라 도기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으나 굽다리가 낮아지고 무늬가 사라지며 사각병‚ 편병 등 새로운 기형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11세기에 들어서면 10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청자의 영향으로 기형과 수법에 변화가 와 질그릇은 기벽이 얇아지고 예리해진다. 12-13세기에는 발달된 청자의 기형을 닮은 도기가 제작되는 특징이 나타난다. 13세기 후반에 들어 어수선한 사회‚ 정치적 영향아래서도 한쪽이 편평한 장군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질그릇이 나타나고 기면에는 두들겨 때린 돗자리무늬와 격자무늬 등의 안정된 형태의 병류가 등장하여 조선 초기 질그릇의 모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고려의 질그릇은 고려시대 일상생활이나 의식용으로 당시의 청자나 청동기와 함께 신분이나 생활정도에 따라 폭 넓게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회흑색에 가까운 질그릇 병으로 이 유물의 특색은 이중 목부분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원형에 가까운 몸체는 비교적 넓은 바닥과 연결되어 매우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몸체 중간부분부터 목부분에 이르는 윗공간을 횡선을 한 줄씩 돌려 공간을 분리한 후 그 안에 물결무늬를 자유롭게 그려 넣었다. 아래쪽에 길게 그려진 물결무늬는 시작과 끝부분이 정확히 연결되지 않고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이며‚ 윗줄의 물결무늬는 시작과 끝선이 서로 엇갈려 지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물결무늬를 통해 제작자의 자유분방함을 느낄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목이 시작되는 부위 바로 아래에 지름 1cm 정도의 구멍이 한 개 뚫려 있다. 목부분은 이 질그릇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먼저 약 6-7cm 정도 안으로 살짝 오므라들며 1차 목부분을 형성한 후 작은 표주박처럼 다시 올라가며 편구형의 작은 몸체를 만든 후 입술을 형성한 것으로 보이나 아쉽게도 마지막 부분의 입술부분이 모두 훼손되어 더 이상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태토(胎土)는 비교적 고운 태토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선과정에서 거친 모래가 약간 포함되어 군데군데 보이며‚ 몸체표면에도 여기저기 기포가 보이고 있어 아쉬움이 든다. 바닥은 평저로 매우 넓게 처리되어 안정적이나 너무 넓게 처리되어서인지 한쪽이 약간 찌그러진 모습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한양대학교박물관수장유물선>>‚ 한양대학교박물관‚ 199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