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긴몸항아리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긴몸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일반적인 짧은 목 항아리에 비해 몸이 매우 길게 처리된 항아리의 한 종류. <발달과정 및 역사> 고려시대의 질그릇은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굴가마(登窯)를 이용한 질그릇 제작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막연히 흙그릇을 지칭하는 토기(土器)라는 용어와는 구별된다. 근래에 들어 고려청자와 함께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어 고려질그릇을 제작하던 가마터에 대한 조사와 특색‚ 편년을 연구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고려가 성립하는 10세기의 질그릇은 통일신라 도기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으나 굽다리가 낮아지고 무늬가 사라지며 사각병‚ 편병 등 새로운 기형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11세기에 들어서면 10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청자의 영향으로 기형과 수법에 변화가 와 질그릇은 기벽이 얇아지고 예리해진다. 12-13세기에는 발달된 청자의 기형을 닮은 도기가 제작되는 특징이 나타난다. 13세기 후반에 들어 어수선한 사회‚ 정치적 영향아래서도 한쪽이 편평한 장군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질그릇이 나타나고 기면에는 두들겨 때린 돗자리무늬와 격자무늬 등의 안정된 형태의 병류가 등장하여 조선 초기 질그릇의 모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고려의 질그릇은 고려시대 일상생활이나 의식용으로 당시의 청자나 청동기와 함께 신분이나 생활정도에 따라 폭넓게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평저(平底)바닥에서 길게 뻗어 올라간 몸체는 위에서 약 5분의 3지점에 최대지름이 위치한다. 어깨에서 목에 이르는 공간을 좀 더 줄였으면 항아리보다는 병에 가까운 형태가 되었을 정도이다. 그러나 이 유물은 목 부분을 좁지 않게 짧게 그리고 살짝 외반되면서 구연부로 마감처리 되었다. 따라서 입지름이 일반적인 항아리에 비하면 약간 작은 편이지만 긴 몸체를 제외하면 짧은목 항아리의 형태와 유사하다. 몸체 전면에는 격자문이 희미하게 그리고 드문드문 배치되어 있다. 한 쪽면에는 격자문이 비교적 많이 보이는 반면에 반대쪽에는 격자문이 별로 없는 상태이다. 또한 격자무늬를 옆으로 비스듬하게 내려가면서 무늬를 배치하였다. 바닥근처에서는 격자문을 새긴 시문구(施文具)의 눌린 흔적까지 그대로 남아 있다. 유물의 색이 거의 검은색에 가까울 정도로 진하나 위쪽으로 가면서는 산화되어서 인지 약간 밝은 감이 있다. 몸체표면은 매우 거칠게 다듬어져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태토(胎土)를 거친 것을 사용했기 때문이며‚ 더군다나 물레질을 고르게 하지 않아서 더 울퉁불퉁하게 마감처리 된 것으로 보인다. 바닥부분은 가운데가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 평저바닥으로 물레의 바닥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다. 내부를 들여다보면 몸체의 테쌓기를 한 것 같은 단들이 여러겹 보인다. 전체적으로 아주 길쭉한 몸체를 가진 고려시대의 질그릇으로 나름대로 독특한 매력을 갖고 있는 유물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한양대학교박물관수장유물선>>‚ 한양대학교박물관‚ 199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