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숟가락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숟가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밥이나 국물을 떠먹기 위한 도구. <발달과정/역사> 선사시대에는 조개껍데기나 나무를 깎아서 사용하였으나‚ 주철물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면서부터는 백통(白銅)·놋쇠·금·은 등으로 제작 사용한다. 젓가락과 함께 한 조를 이루며‚ 시대 변천에 따라 형태와 문양에서 차이를 보인다. 선사시대에는 조개껍데기나 나무를 깎아서 사용하였으나‚ 이후 주철문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면서부터는 청동제품‚ 놋쇠제품‚ 백통(白銅)제품‚ 은제품‚ 금제품 등 다양한 제품으로 제작되었으며‚ 그 형태와 문양도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경주 금관총(金冠塚)에서 동그란 몸체에 둥근 자루가 달린 숟가락이 출토되었으며‚ 공주 무령왕릉(武零?陵)에서는 타원형에 가까운 몸체에 평면 삼각형의 자루가 달린 숟가락 3점이 출토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몸체가 원형 혹은 타원형을 이루며 자루의 단면은 반원통형‚ 사각형‚ 삼각형 등 부위에 따라 다르고‚ 현재 사용하는 숟가락의 형태와 유사하다. 고려 초기의 것은 숟가락의 자루가 크게 휘어졌고‚ 중기의 것은 자루 끝이 제비꼬리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대체로 숟가락의 바닥이 얕아 국을 떠서 먹기가 어려워 식생활이 오늘날과 많이 달랐을 것이다. 조선 초기에 들어서면서 숟가락 자루의 제비꼬리가 없어지고 자루의 휨이 적어지며 숟가락 면은 타원형을 이룬다. 중기 이후에는 숟가락 자루가 길어지고 두꺼우며 곧아지고‚ 숟가락 면은 둥글어진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전체적인 형태가 S자형의 숟가락으로 앞면은 버드나뭇잎 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만들어졌으며‚ 손잡이는 점점 위로 높이 올라간 뒤 끝부분에서 제비꼬리 모양을 표현하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형식이다. 앞면은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많이 닳지는 않았으며‚ 손잡이의 단면은 반원형이다. 손잡이의 전체 1/3 지점에 세 줄이 한 세트인 장식선을 네 개 배치하여 경계선으로 삼았으며‚ 그 뒤는 이중으로 뻗어나간 제비꼬리모양으로 멋지게 마무리 하였다. 전체적으로 완전한 형태의 유물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 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한국식품문화사>>‚ 이성우‚ 198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