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인화문대부완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인화문대부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짧은 굽다리가 붙은 접시로 몸체의 외면(?面)에 도장무늬[인화문(印花文)]가 시문(施文)되어 있음. <발달과정 및 역사> 짧은 굽다리가 붙은 접시의 형태로 대부완(臺附?)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기종은 주로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에 유행한 토기로 몸체의 외면에 도장무늬[인화문(印花文)]가 시문(施文)된 것과 시문되지 않은 것으로 나뉘어 진다. 인화문(印花文)이란 무늬가 새겨진 도장으로 토기 표면에 무늬를 찍는 것을 말한다.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서‚ 무덤 및 절터·궁터 등의 생활유적에서 출토되고 있고‚ 부장품‚ 뼈항아리 이외에 일상용기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이 인화문이 시문된 그릇의 형태로는 굽접시‚ 긴목항아리‚ 바리‚ 병‚ 장군‚ 화로‚ 벼루 등이 있다. 무늬 종류로는 선문(線文)‚ 점렬문(點列文)‚ 파상문(波狀文)‚ 원문(圓文)‚ 호문(弧文) 등의 기하학무늬와 화형문(化形文)‚ 영락문(瓔?文)과 같은 식물무늬‚ 그리고 새‚ 구름무늬와 같은 것도 있다. 이와 같은 인화문이 나오기 이전에 콤파스로 그린 동심원문(同心圓文)과 날카로운 도구로 그린 삼각집선문(三角集線文)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기에서 소개하는 인화문대부완은 빗과 같은 시문구(施文具)로 찍어 표현한 점열문(點列文)이 시문(施文)되어 있는 것이다. 아가리의 끝부분은 둥글게 처리되어 있으며 기벽(器壁)의 두께와 비슷하다. 아가리 아래에 2줄의 얕은 횡선(橫線)이 있으며 그 아래 점열문이 있다. 몸체는 아랫부분에서 약간 꺾여 사선으로 내려오다 굽으로 이어진다. 굽은 낮은 편이며 안턱이 굽의 내부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몸체 내부에 회전물손질흔적이 관찰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