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오십환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오십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가치척도‚ 교환수단‚ 지급수단‚ 가치의 보장수단이 되는 것 <발달과정/역사> 선사시대(先史時代)‚ 인류는 주로 동굴이나 물가에서 살았고‚ 수렵과 어로 등으로 원시적인 삶을 영위했지만 그 시대의 동굴벽화 등에서 당시에도 물건과 물건을 교환하며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건과 물건을 교환하는데 사용된 것‚ 그것이 오늘날 화폐의 기원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고조선(古朝鮮) 시대에 이미 자모전(子母錢)을 사용했다는 설 또는 기록이 있다. 최초의 돈에 대한 기록은 고조선 제9대 흥평왕(興平?) 원년(元年)이라는 주장이 있다. 고조선에서 화폐를 사용했음을 뒷받침해주는 근거로는 고조선 법률의 범금(犯禁) 8조 중 돈의 단위를 표시한 제3조의"...중략... 贖者五十(속자오십만)....중략...”(“도둑질한 자는 그 집의 노비로 삼든지 속죄금(벌금) 50만을 물어야 된다”)라는 기록와 고조선시대 무덤에서 발굴되는 유물 중 비파형 청동제 도검과 잔줄무늬 동경의 정교한 제작수준으로 어떤 형태로든 금속화폐가 제작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들 수있다. 『三國志』魏書 東?傳 辰韓 ‚ 弁辰條와 『後漢書』東?傳 韓條에 따르면 삼한시대(三韓時代) 마한(馬韓)에서는 처음으로 동전을 만들어 썼고‚ 진한(辰韓)은 철전을 제조해 인접지역인 마한‚ 일본과 교역에도 유통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이와 관련해 가야‚ 신라‚ 백제시대 고분 등에서 출토된 철정전(鐵鋌錢)이 삼국시대 이전의 화폐실물이라는 평가가 있다. 철정전은 우리나라가 철기시대로 진입하면서 남쪽지방을 중심으로 제조 유통된 것으로 표면에는 아무런 문자가 들어있지 않는 무문철전으로써 기록으로만 남겨져있는 화폐제조의 역사적 사실을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실물 자료라 할 수있다. 삼국시대에는 귀족들의 생활이 호화로워 금‚은의 수요가 증가한데다가 야금술(冶金術)을 비롯해 수공업 기술도 발달하였으며 신라시대 고분(古墳)에서 많은 금 세공품이 출토된 사실만 보더라도 금의 유통이 많았던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이전 보다는 많은 화폐가 만들어 진다. 고려 성종 15년(996‚4) `건원중보(乾元重寶)`‚목종 원년(998) `동국중보(東國重寶)`‚ `동국통보(東國通寶)`‚ 숙종 2년(1097) `해동원보(涇東元寶)`‚ 숙종 7년(1102) `해동통보(涇東通寶)`‚ `해동중보(涇東重寶)`‚ `삼한통보(三韓通寶)`‚ 숙종 8년(1103) `삼한중보(三韓重寶)`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활용되지는 못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실생활에 화폐를 이용하려는 취지에 의해 세종 5년(1423) `조선통보(朝鮮通寶)`‚ 효종 2년(1651) `십전통보(十錢通寶)`가 발행처가 둘러 싸고 있다. 이들 문양의 주위를 구슬모양 돌기로 장식하였다. 동전의 테두리는 아무런 문양이 없는 평면이다.만들어 진다. 그러나 실패를 거듭하다가 숙종 4년(1678) `상평통보(常平通寶)`가 주조‚ 발행되면서 전국적으로 화폐가 쓰이게 된다. 이는 약 2세기 동안 사용되었다. 근대 대한제국시기에는 고종 19년(1882) 은으로 만든 최초의 근대화폐인 `대동은전(?東銀錢)`이 만들어 진다. 이후 여러번의 변혁을 겪었고‚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기서 소개하는 오십환(五十?)은 회백색을 띄지만 부분적으로 암갈색과 청녹색의 녹이 보인다. 동전의 돌출된 문양면은 조금 마모(磨耗)되었고‚ 날카로운 것에 의해 긁힌 흔적이 확인된다. 동전의 앞면에는 조선시대 이순신 장군이 만든 거북선과 함께 `오십환`‚ 발행처가 한글로 찍혀져 있다. 뒷면에는 숫자50을 단기(亶期) 4294년(1961년)이라는 발행연도와 영문으로 표기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