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연꽃무늬서까래막새

추천0 조회수 3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꽃무늬서까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목조 건축 지붕의 서까래 끝에 마무리 장식하는데 사용되었던 기와.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서까래의 부식을 방지하고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 서까래막새기와는 둥근 연목에 사용되는 것[연목와(椽木瓦)]과 네모난 부연[부연와(附椽瓦)]과 사래에 사용되는 것[사래기와] 등으로 구분되고 있는데 기와의 형태도 원형‚ 방형‚ 원두방형(圓頭方形) 등으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러 서까래막새기와 가운데에서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고 서까래막새기와를 대표하고 있는 것은 둥근 연목에 사용되는 연목기와이다. 이 연목기와는 둥글고 긴 연목 끝에 사용되는 기와로 수키와가 부착되지 않은 수막새와 거의 유사한 원형의 기와이다. 그러나 연목기와는 주연부가 생략되어 있으며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자방에 못구멍이 뚫려 있다. 못구멍은 원형과 방형의 못구멍이 많은 편이다. 이 연목기와는 삼국시대부터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백제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연목기와에 새겨진 문양은 연꽃‚ 보상화‚ 귀목 등으로 당시에 함께 제작된 수막새의 무늬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삼국시대에 제작된 여러 기와 가운데 백제 지역에서 제작된 익산 미륵사지 출토의 녹유 서까래기와는 중요시되고 있다. 여기서 소개하는 연꽃무늬서까래막새[연화문연목와(蓮花文椽木瓦)]는 드림부의 1/3정도가 남아 있다. 태토에는 1mm-2mm 정도의 세사립을 첨가하였고 색조는 회청색을 나타낸다. 자방(子房)은 철(凸)형으로 약간 솟아 있고 그 중앙에 원형의 못구멍 흑적이 확인된다. 자방 주위로는 1단 낮춘 예상(?狀)의 즐치문대(櫛齒文帶)를 배치하고 있다. 활판(?瓣)의 판단은 ♡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판내(瓣內)는 중육(中肉)하다. 간판(間瓣)은 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