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민무늬토기항아리

추천0 조회수 6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민무늬토기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7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청동기시대의 무늬가 없는 토기로 일명 `무문토기(無文土器)`·`무늬없는 토기`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무늬가 있는 토기인 빗살무늬토기에 상대되는 말로 사용된다. [발달과정/역사] 한국 청동기시대의 토기를 일괄해서 일반적으로 `민무늬토기`하고 하나 민무늬토기(無文土器)는 물론 간토기(磨硏土器)와도 구분하였던 용어이다. 이러한 개념을 충실히 따라서 북한에서는 청동기시대의 토기를 갈색민그릇과 간그릇으로 나누어 살피고 있지만‚ 남한에서는 마연(磨硏)이나 채색(彩色) 등의 표면처리 수법에 관계없이 통틀어 민무늬토기라고 한다. 민무늬토기란 문자 그대로라면 무늬가 없는 토기라는 뜻이지만 실제로 청동기시대에 속하는 토기 중 지역에 따라서는 평북 신암리토기(新岩里土器)를 비롯하여 무늬가 장식된 예가 많다. 또한 시대적인 측면에서 볼 때 남한에서 실제 사용한 예를 보면 민무늬토기는 청동기시대의 토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B.C. 1세기경 한대(漢代) 철기가 본격적으로 유입되었을 때도 여전히 민무늬토기가 사용되었다. 심지어는 남한의 원삼국시대 혹은 삼국시대 전기에 타날무늬토기(打捺文土器)와 공반하는 무늬없는 토기‚ 예를 들어 한강유역의 중도식토기(中島式土器)를 민무늬토기로 보기도 하이 경우 민무늬토기 개념이 지나치게 확대‚ 적용된 것으로 시대적 의미가 약해지기 때문에 곤란하다. 나아가서 민무늬토기를 시대의 표지유물(標識遺物)로 보아 청동기시대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민무늬토기시대`라는 개념은 청동기뿐만 아니라‚ 철기 사용기에 두루 걸쳐 지나치게 포괄하는 시대개념(時代槪念)이라는데 문제가 있다. 아울러 남한지방 위주의 지역적 시대개념이라는 한계가 있어 한국고고학의 범위를 남한에 한정하는 결과를 낳게 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토기는 집단마다 즐겨 쓰는 그릇모양과 무늬장식이 다르므로‚ 토기장식 등의 구성요소를 살펴서 집단의 지리적인 활동범위나 그 전파과정(傳播過程)을 추적할 수 있다. 아울러 각기 다른 형식의 속성이나 기종이 복합된 토기를 통해 서로 다른 집단의 문화적 결합을 밝힐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토기 형식의 분류와 분석은 그 일차적인 의미를 갖게 되는데‚ 형식 이름은 대체로 출토되는 지명을 따거나 특징적인 형태를 근거로 명명한다. 한반도 민무늬토기의 편년은 대체로 지역별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공통된 변천과정(變遷過程)을 기준한 시기구분이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요하(遼河)와 북한지방에서는 신석기시대 토기에서부터 점진적인 이행과정을 거쳐 민무늬토기로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남한지방에서는 같은 지역의 신석기시대 토기와는 형식상 서로 연결되지 않는 단절된 교체양상(交替樣相묵방리식(墨房里式) 토기·가락식(可樂式) 토기·송국리식(松菊里式) 토기 등이 있다. 제작수법과 기형에 의한 특성으로 명명된 토기유형으로는 공렬토기·구순부각목(口脣部刻目)토기·각형토기·홍도(紅陶)·흑도(黑陶)·채문토기(彩文土器)·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화분형토기(花盆形土器) 등이 있다. 이 민무늬토기항아리는 동체의 중앙에서 밑으로 내려갈수록 급하게 좁아지면서 바닥으로 연결된다. 표면은 대부분 떨어져나가 매우 거친 편이며 전체적으로 적색을 띠며 바탕흙은 석영알갱이가 많이 섞여 있다. )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남한에서 통용되는 민무늬토기의 전·후기 시기구분이 한반도 전역의 청동기·철기시대의 토기변천과 맞물리는 것이 아님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일반적으로 용도상에서 오는 제작의 차이에 의해 발형·심발형(渙鉢形)·완형(燔形)·명형(皿形)·옹형(甕形)·호형(壺形)·두형(豆形) 등으로 구분된다. 이 토기들은 지역·시기·제작수법에 따라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역이나 시기에 따른 독특한 유형의 토기 중 대표적인 유적명을 따서 명명되어 불리는 토기로는 신암리식 토기·공귀리식 토기·미송리식(美松里式) 토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