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나무절구

추천0 조회수 11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무절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7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곡식을 빻거나 찧는 데 쓰는 용구. [개설] 소나무나 잡목의 맨 밑동을 그대로 잘라 가운데에 큰 구멍을 파서 만든 기구로 옛말로는 `절고`로 표기되었고‚ 지역에 따라 `도구통`·`도구`·`절기방아`라 부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절구는 통나무나 돌 또는 쇠로 만들며‚ 그 재료에 따라 `나무절구`·`돌절구`·`쇠절구` 등으로 구별하여 부른다. 어느 것이나 윗부분에 우묵한 구멍이 있다. 공이도 세 종류의 물질로 만든다. 나무절구의 바닥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구멍바닥에 우툴두툴한 쇠판을 깔기도 한다. 쇠절구는 규모가 작으며 주로 양념을 다지는 데에 쓴다. 나무절구 중에도 이와 같은 것이 있다. 이것을 `양념절구`라고 한다. 나무절구는 위아래의 굵기가 같은 것이 대부분이나 남부지방에서는 허리를 잘록하게 좁힌 것을 많이 쓴다. 이에 비하여 돌절구는 상부에 비하여 하부를 좁게 깎으며‚ 특히 아랫부분을 정교하게 다듬고 이에 조각을 베풀기도 한다. 절구의 크기나 형태는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제주도의 절구는 돌을 쪼아만든 확의 주위에 큰 함지박을 끼워놓은 점이 특이하다. 이것은 곡식이 확 밖으로 튀어나와도 이내 다시 쓸어 넣을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돌절구에는 돌공이를‚ 쇠절구에는 쇠공이를‚ 나무절구에는 나무공이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확이 돌임에도 나무공이를 쓴다. 제주도에서는 이 절구를 `남방애`라고 부른다. 공이의 재료나 모양도 절구에 못지 않게 다양하다. 나무공이는 위아래가 둥글고 손에 쥘 부분만 파내었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공이의 끝부분에 돌을 박아서 쓰기도 한다. 돌공이는 공이 끝에 나무자루를 박으므로 자루와 몸이 직각을 이룬다. 쇠공이 중에도 이러한 것이 있다. 특히‚ 남부지방에서는 한 집에서도 크기가 다른 나무공이를 여러 개 쓴다. 공이의 허리가 걸릴 만큼 파낸 공이대를 부엌 옆 벽에 붙이고 여러 개의 공이를 걸어둔다. 절구는 주로 곡식을 찧거나 빻는 데 쓴다. 절구가 크고 일감이 많을 때에는 두 사람이 마주서서 절구질을 한다. 한 사람이 할 때에는 다른 사람이 나무주걱 같은 것으로 곡물을 뒤집어주기도 한다. 이것을 `께낌질`이라고 한다. 절구에 떡을 치기도 한다. 더러는 세탁물을 넣고 공이로 찧어서 때를 빼는 수도 있다. 또‚ 나무절구는 가로로 뉘어 놓고 개상으로 쓰기도 한다. 나무절구에 나무공이로 벼 한말을 찧는 데에는 한 시간쯤 걸린다. 돌공이는 나무공이에 비하여 시간이 반밖에 걸리지 않지만 공이 자체가 무거워 힘이 많이 든다. 경상남도 지방에서는 정월의 첫 소날(上丑日 상축일)에 절구질을 하면 집안의 소가 골식에 콩·보리·조·팥·쌀 등의 곡식을 섞어 놓고 그 해의 흉풍을 점친다. 같은 날 오후에 이들을 살펴본다. 모양이 변하지 않은 그릇에 해당하는 날에는 가뭄이 들고‚ 틈이 벌어진 그릇의 달에는 물이 흔하리라고 한다. 그러나 벌어진 틈이 작으면 비가 내려도 흡족하지 않을 것으로 여긴다. 곡식의 대부분을 절구에 찧어 먹으므로 절구통의 여신은 영험하리라고 믿는 것이다. 이곳에서는 이를 "도구통 각시 영금 준다."고 말한다.이 아파서 죽거나 병이 생긴다고 하여 이를 삼간다. 또‚ 우리 나라의 중부 이남에서는 보름날 새벽에 절굿공이를 가지고 집마당이나 밭에 가서 "디지기방아 찧자‚ 디지기방아 찧자."하면서 찧고 다닌다. 이렇게 하면 굼벵이나 두더지·독벌레들이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전라남도 지방에서는 보름날 아침 절굿공이로 마당의 네 귀퉁이를 찧고 나서 땅이 얼마나 들어갔는가를 살핀다. 이때에 동쪽은 봄‚ 남쪽은 여름‚ 서쪽은 가을‚ 북쪽은 겨울로 여기고 땅이 많이 팬 쪽의 땅은 그 해에 물이 흔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는 가뭄이 든다고 점을 친다. 전라남도 지방에서는 절구에 여신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보름날 아침에 절구 주위에 열두 달을 상징하는 열두 가지 음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