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김인지석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김인지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7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피장자의 성명‚ 직함‚ 가족세계‚ 생시행적 등을 써서 무덤 가운데에 남기는 기록물이다. [발달과정/역사] 무덤방(墓室)에 직접 묵서(墨書) 혹은 주서(朱書)하거나 무덤방 벽면에 새기기도 하고‚ 일반적으로는 돌 위에 새기는 것이나 틀을 이용하여 벽돌‚ 혹은 주철을 소재로 작성된 것에서 청자나 백자에 쓰여진 것으로 남겨진 것 등이 시대와 피장자의 신분‚ 장법 등에 따라서 다양하다. 원래 묘지는 중국에서 동한(東漢) 시기에 기원하여 위진시대 이후 성행하였는데 이러한 풍습이 한국에도 유입된 것이라 하겠다. 河南省 洛陽에서 출토된 한(漢) 연평원년(延平元年:A.D. 106) 고무중(賈武仲)의 처 마강(馬?)의 묘지는 기재 내용이 묘지에 가까운 것이긴 하지만 완성된 것이라 보기 어렵다. 그런데 江蘇省 丕縣에서 발견된 무우(繆宇)의 묘에는 뒷방(後室) 입구 상단에 피장자의 성명‚ 사망‚ 장례일자‚ 관직‚ 송사(頌辭) 등의 내용이 새겨 있다. 한국에서 묘지라 하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묘에서 주로 보이는 명문이 새겨진 방형의 소석판(小石版)이나 도판(陶版) 등의 형태를 일컫는다. 하지만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넓은 의미에서 묘지라고 하면 무덤의 벽면에 쓰여지거나 새겨진 명문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 고분에는 무덤방 벽면에 묵서로 묘지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현재 3기의 고분이 그러한데 모두루총(牟頭婁塚)‚ 동수묘(冬壽墓)로 알려진 안악(安岳) 3호분‚ 그리고 덕흥리(德興里) 고분이 그것이다. 협의의 개념에서 소판의 형식을 빌린 묘지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백제 무녕왕릉(武寧?陵)에서 나온 것이다. 벽돌무덤인 무녕왕릉의 널방(?室) 입구에서 왼쪽에는 왕비의 지석이 놓여 있고 오른쪽에는 왕의 것이 놓여 있는데 그 위에는 양나라 때 오수전이 한 꾸러미 놓여 있었다. 사실 무녕왕릉의 묘지석은 묘지라고 부르기보다는 중국의 장례 풍속을 따라 지신으로부터 땅을 사들인다는 뜻으로 만든 매지권(買地權)이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한국에서 묘지가 흔하게 발견되기는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부터이다. 고려시대에는 오석(烏石)‚ 혹은 점판암계의 장방형 석판을 물갈이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조선시대가 되면 오석이나 점판암과 함께 자기로 된 도판이 많이 쓰이게 되었다. 특히 흰색의 방탕에 청색으로 글씨를 쓴 청화백자계의 묘지가 많이 쓰였다. 고려시대의 묘지가 중국 묘지의 체제를 그대로 따랐다고 한다면‚ 조선시대의 묘지는 재료‚ 형태‚ 내용 등에서 고려시대의 것보다 훨씬 자유로웠다. 소판형(小板形)의 기본 틀에서 벗어난 조선시대의 묘지는 묘비모양‚ 단지모양‚ 원통형己酉?以門蔭補黃山道察訪庚戌 丁卯艱自後隱德常慷慨有士氣每存江湖 ? ?以爲脫游之志一疾?崇數歲沈節辛未二 月三日終于家春秋五十有六是年三月‚ 표주형(標柱形) 등 다양하다. 또한 장례의식 중 묘지를 안치하는 광정에서 다양한 면모가 엿보이기 때문에 묘지의 작성과 그것의 매납은 단순히 피장자의 이름이나 약력을 알린다는 것 이상의 관념이 있는 듯하다. 이 백자지석은 2편의 정사각형 백자(白磁) 지석(誌石)이다. 음각(陰刻)으로 글씨를 새겼다. 1편에 담청(?靑)을 머금은 백자유를 시유하였다. 黃山察訪金公墓誌 公諱?字?仁?金江陵人周元君之遠 裔也曾祖諱臺贈通政??禮曹參 議行?正??司諫院?納祖諱世勳 贈嘉善??吏曹參判行?正??宗簿 寺僉正考諱光轍嘉善??禮曹參判?貞 ?人安城李氏成均生員諱碩?之女以正 德丙子六月二十二日生公公自少業文時年未 ?嘉靖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