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사기덤벙문대접

추천0 조회수 6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사기덤벙문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회색 또는회흑색 태토(胎土) 위에 백토니(白土泥)를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 [발달과정/역사]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에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14세기 중엽에서 16세기 중엽 사이에 생산되었고 15세기 전반 세종의 재위시기에 가장 다양하게 발전하여 전국에서 생산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분청사기 그릇의 형태는 고려시대의 것이 대부분 계승되면서 조금씩 변화되었으며‚ 대접의 경우 기벽이 비교적 얇고 구연부가 밖으로 벌어진 형태가 많다. 매병은 고려매병의 당당한 형태와 뚜렷한 차이를 보여 전체적으로 어깨에서 힘이 빠지고 S자형의 굴곡이 심해지며 구연부가 넓은 큰 항아리가 늘어난다. 특히 제기(祭器)의 경우 고려시대에서는 볼 수 없던 기형으로 조선사회의 유교적인 성격을 반영하는 것이다. 분청사기의 특징은 그릇 표면을 백토로 씌우는 백토분장기법과 그 무늬에 있다. 백토분장의 동기는 잘 알 수 없으나 고려 말에 철분이나 잡물이 많이 섞인 조잡한 청자가 제작되자 이러한 잡물을 감추기 위하야 백토로 분장하였으리라 추측된다. 또한 14세기 당시 중국도자가 청자에서 백자로 이행되는 시기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백자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표면을 백색화하려 했다고 보기도 한다. 분청인화(印花)는 점열(點列) 또는 국화문‚ 육가변문(六角辨文) 등의 도장으로 표면을 찍은 후 백토를 넣는 방법이므로 노동절감과 동시에 대량생산을 위한 수단이었다고 생각한다. 인화기법도 넓은 의미로는 상감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이 분청사기발은 [정의] 회색 또는회흑색 태토(胎土) 위에 백토니(白土泥)를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 [발달과정/역사]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로 고유섭(高裕燮)이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릇 표면을 백토(白土)로 분장[화장]하여 전체적으로 백색을 띠며 유약을 바른 후의 색조는 회청색을 띠는 도자이다. 분청사기는 한국도자사의 큰 흐름에서 볼 때 청자의 맥락 위에 있으나 청자보다는 태토 내 철분의 함량이 적어 청자에 비해 색이 밝아지고 유약도 희어져 전체적인 색감은 밝은 회청색을 띤다. 14세기 중엽에서 16세기 중엽 사이에 생산되었고 15세기 전반 세종의 재위시기에 가장 다양하게 발전하여 전국에서 생산되었다잡물을 감추기 위하야 백토로 분장하였으리라 추측된다. 또한 14세기 당시 중국도자가 청자에서 백자로 이행되는 시기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백자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표면을 백색화하려 했다고 보기도 한다. 분청담금[덤벙]은 백토를 탄 물에 그릇 굽다리를 잡고 거꾸로 덤벙 담갔다가 꺼냄으로써 표면이 백토분장된 분청사기이다. 특히 이 종류의 대접은 일본인들이 차(茶)도구로 가장 좋아하는 것이다. 분청담금은 제작할때 굽다리를 손으로 잡고 거꾸로 담그기 때문에 굽 언저리에 흰흙이 묻지 않으며‚ 백토가 뭉쳐 흘러내린 자국은 추상적인 우연의 효과를 보여준다. 이 분청사기대접은 구연(口緣)은 외반되었고‚ 구연(口緣)에서 굽에 이르는 외측면선(?側面線)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내면(內面)과 외면(?面)의 중간까지 덤벙 기법으로 백토를 분장하였고 외면(?面)의 나머지 면은 녹청색의 청자유(靑磁釉)가 시유되었다. 전면에 회청색을 띠는 청자유(靑磁釉)가 시유되었으나 시유 상태가 고르지 못하고 빙렬(氷裂)이 나있다. 굽은 다리굽이며 굽다리 바닥 여섯 곳에 내화토를 받치고 번조하였다. 내저면(內底面) 여섯 곳에 내화토를 받치고 포개 구운 흔적이 남아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분청사기 그릇의 형태는 고려시대의 것이 대부분 계승되면서 조금씩 변화되었으며‚ 대접의 경우 기벽이 비교적 얇고 구연부가 밖으로 벌어진 형태가 많다. 매병은 고려매병의 당당한 형태와 뚜렷한 차이를 보여 전체적으로 어깨에서 힘이 빠지고 S자형의 굴곡이 심해지며 구연부가 넓은 큰 항아리가 늘어난다. 특히 제기(祭器)의 경우 고려시대에서는 볼 수 없던 기형으로 조선사회의 유교적인 성격을 반영하는 것이다. 분청사기의 특징은 그릇 표면을 백토로 씌우는 백토분장기법과 그 무늬에 있다. 백토분장의 동기는 잘 알 수 없으나 고려 말에 철분이나 잡물이 많이 섞인 조잡한 청자가 제작되자 이러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