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국화문대접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국화문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청유(靑釉)를 시유(施釉)한 자기. [발달과정/역사] 청자(靑磁)는 철분이 극소량 들어 있는 태토 위에 철분 1-3%의 장석유(長石釉)를 바르고 환원염으로 구워 유약 속의 철분이 청록색으로 변한 자기를 말한다. 대체로 환원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불순물이 함유되거나 해서 유색(釉色)이 황녹색이나 회녹색‚ 때로는 산화되어 황갈색을 띤 것도 청자로 부르고 있다. 다만 구리성분[銅分]의 산화에 의한 녹유(綠釉)는 청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중국 절강성 북부의 월주요(越州窯)에서는 한대부터 원시적인 청자가 만들어졌지만 5-6세기경부터는 차츰 발전하여 제작지도 화남·화북으로 퍼져나갔으며 당나라를 거쳐 송대에는 절정을 이루어 청자요가 중국 각지에 있었다. 특히 복건성‚ 절강성‚ 광동성의 해안지역에서 많은 요지가 발견되었고 청대의 경덕진료에서는 송·명대 청자의 모조품제작이 성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청자의 발생은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부터 중국 월주요에서 만든 원시청자인 고월자(古越磁)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는 학설과 10세기 후반에 고려의 중앙집권화 및 신지배층의 중국도자에 대한 수요에서 청자제작이 새롭게 시작되었다는 학설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불교사회와 귀족문화를 배경에 두고 있는 고려청자는 은은하면서도 맑은 비색과 유려하고 당당한 선의 흐름을 지닌 형태‚ 그리고 독창적인 상감기법 및 문양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고려 이전의 기명들이 대부분 의식용 그릇이었던 데 비하여 고려청자는 합(盒)‚ 대접‚ 접시‚ 완(碗)‚ 술잔‚ 병‚ 주전자 등과 같은 실용적인 그릇으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장식용 그릇인 꽃병[화병]‚ 연적(硯滴)‚ 향로에는 오리‚ 원숭이‚ 사자‚ 혹은 참외나 석류 등의 동식물 모습을 표현했는데 매우 뛰어난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청자상감(象嵌)은 고려청자의 장식기법중 가장 두드러지고 대표적인 수법으로 문양을 음각하고 거기에 태토와 색깔이 다른 백토(白土)‚ 자토(紫土)를 메우고 그 위에 청자유를 씌워 굽는 것이다. 이 청자대접은 구연(口緣)은 직립(直立)하였고‚ 구연(口緣)에서 굽에 이르는 외측면선(?側面線)은 완만한 곡선(曲線)을 이룬 대접(??)이다. 내면(內面)의 구연(口緣)바로 아래에는 백상감이중선대(白象嵌二重線帶) 둘려 잇고‚ 내측면(內側面)에는 등간격(等間格)으로 국화문(菊花文)이 백상감(白象嵌)되었으며‚ 내저면(內底面)에는 백상감이중원(白象嵌二重圓)안에 국화문(菊花文)이 백상감(白象嵌)되었다. 외측면(?側面)에는 상단(上段)과 하단(下段)에 백상감이중선대(白象嵌二重線帶)를 두르고‚ 그 사이에 백상감이중원(白象嵌二重圓)에 둘러싸인 백상감국화문(白象嵌菊花文)이 등간격(等間格)으로 세 곳에 배치되어 있다. 녹청색의 청자유(靑磁釉)가 시유되었으나 외면(?面)의 저부(底部)가 변색(變色)되었다. 굽은 다리굽으로 굽다리 바닥에 모래를 받치고 번조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