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구군복(具軍服)

추천0 조회수 34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구군복(具軍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무관들이 갖추어 입던 군복 <발달과정/역사> 조선시대의 군복에는 융복(戎服) 외에 구군복이 있었는데‚ 이것은 개주(介?)의 속옷으로 무관의 대례복이었다. 구군복이라는 명칭은 문헌에는 기록된 것이 없고 구전(口傳)되어 올 뿐이다. 조선시대에 무관이 착용한 옷에는 융복(戎服)과 군복(軍服)이 있는데 이들은 사실상 같은 용도의 옷으로서‚ ?증보문헌비고(增補文?備考)?에 의하면 초기에는 융복으로만 기록되다가 선조 때에 와서 처음 군복의 명칭이 보이기 시작한다. 따라서 애초에는 몸을 경첩하게 할 때의 의복인 융복이 넓은 의미의 군복으로 착용되다가‚ 순조 이후 이들을 구별하여 착용하기 시작하면서 옷의 구성면에서도 그 양상을 달리 한 것으로 생각된다. 숙종 때의 회화에 융복과 군복이 보이는데‚ 선조 때의 군복이 구군복을 뜻하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정조 이후의 군복의 기록은 회화와 연관시켜 볼 때 구군복이라 하여도 무방할 듯하다. 순조 34년 4월에 왕의 행차 시에 융복과 군복의 착용을 구별했으며‚ 이후 헌종 13년 2월에 어가(御駕)를 따르는 복장을 군복으로 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구군복의 구성은 전립(戰笠‚ 氈笠)?협수(狹袖‚ 동다리)?전복(戰服)?전대(戰帶)?목화(木靴)로 되어 있었으며‚ 동달이는 겹동달이와 홑동달이가 있는데‚ 소매는 홍색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대(戰帶)는 길이를 3~4cm로 겹으로 만들어 그 속에 휴대품을 넣고 다니거나‚ 유사시 붕대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전립은 모자의 중앙이 둥글고 양테를 둘렀으며‚ 돼지털이나 대나무로 만들었다. 목화는 반장화 모양의 신으로 겉은 검정‚ 안은 흰색 옷감이고‚ 바닥은 나무와 가죽으로 되었다. 손에는 등채(藤策)을 들고‚ 등에는 동개(筒箇)를 매고‚ 허리에는 환도(還刀)와 병부(兵符)를 주머니에 넣어 띠에 찼고‚ 생년월일‚ 성명‚ 직업‚ 용모 등을 새긴 호패(號牌)를 차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 유물은 조선시대의 구군복을 고증을 거쳐 재현한 것이다. <제원> 전체 길이 : 125cm‚ 소매 길이 : 84cm‚ 전체 폭 : 240cm‚ 소매 폭 : 29cm‚ 가슴 폭 : 72c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