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장승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장승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한국의 마을 또는 절 입구‚ 길가에 세운 사람 머리 모양의 기둥. <일반사항 및 특징> 돌로 만든 석장승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으며‚ 전국에 분포한다. 장승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의 성기(?器) 숭배에서 나온 것‚ 장생고(長生庫)에 속하는 사전(寺田)의 표지(標識)에서 나온 것‚ 목장승은 솟대[蘇塗]에서‚ 석장승은 선돌[立石]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확실한 기원은 알 수 없다. 장승의 명칭도 여러 가지인데‚ 조선시대에는 한자로 `후(瑢)`‚ `장생(長慷)`‚ `장승(長丞‚ 張丞‚長承)` 등으로 썼고‚ 지방에 따라 장승·장성·벅수·법수·당산할아버지·수살목 등의 이름이 있다. 장승의 기능은 첫째 지역간의 경계표 구실‚ 둘째 이정표 구실‚ 셋째 마을의 수호신 역할이다. 길가나 마을 경계에 있는 장승에는 그것을 기점으로 한 사방의 주요 고을 및 거리를 표시하였다. 수호신으로 세운 장승에는 이정표시도 없으며‚ `천하대장군`류의 표시도 없고 마을의 신앙 대상으로서 주로 액병(厄病)을 빌었다. 장승은 보통 남녀로 쌍을 이루며‚ 남상(男像)은 머리에 관모를 쓰고 전면에 `천하대장군(?下?將軍)`‚ `상원대장군(上元?將軍)`이라 새겨 있으며‚ 여상(?像)은 관이 없고 전면에 `지하대장군(地下?將軍)`‚ `지하여장군(地下?將軍)`‚ `하원대장군(下元?將軍)` 등의 글이 새겨 있다. 장소에 따라 채색·형상·크기 등이 다르나 모양이 괴엄(魁嚴)한 점만은 일치한다. 장승에 쓰는 장군명에는 민속적인 신명(神名)이 등장하는데 동쪽에 있는 장승에는 동방청제축귀장군(東方靑帝逐鬼將軍)‚ 서쪽에는 서방백제축귀장군(西方白帝逐鬼將軍)‚ 남쪽에는 남방적제축귀장군(南方赤帝逐鬼將軍)‚ 북쪽에는 북방흑제축귀장군(北方黑帝逐鬼將軍)이라고 써서 세워‚ 축귀하는 민간 신앙의 성격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장승을 서낭당·산신당·솟대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액운이 들었을 때나 질병이 전염되었을 때에는 제사를 지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