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답호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답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답호는 조선시대 왕과 문무관리들이 철릭 위에 입던 겉옷으로 조선 초기부터 그 착용례를 볼 수 있다. 소매없는 포(袍)로 길이가 길고 무와 섶이없으며 뒷솔기를 허리 아래에서부터 텄다. 왕은 철릭 위에 답호를 입고 그 위에 곤룡포(袞龍袍)를 입으며‚ 문관들은 철릭 위에 답호를 입고 그 위에 포를 입었는데 조선 중기 이후에는 전복(戰服)이나 하급 군속 및 조례( 隷)들이 겉옷으로 착용하였다. 답호는 왕이 착용할 때 청색‚ 녹색‚ 홍색 계통이 사용되었고 직물은 운문단(雲紋緞) 등의 고급 문단이 사용되었다. 세종26년(1444)3월에 명나라 황제가 내린 물건 중에 곤룡포와 함께 청암화(靑暗花) 답호가 있으며‚ 세조 2년(1456) 7월 좌의정 한확(韓確)의 가동(家童)에게 회색면포겹답호를‚ 연산군 5년(1510) 7월 경변사 이극균(李克均)에게 초록저사겹답호와 대홍주겹답호를 전립(戰笠) 등과 함께 하사한 바 있다. 고종 21년(1884) 6월 20일에 "전복의 제도는 옛날의 반비의(半臂衣)로서 작자(綽子)라고도 하고 답호( 護)라고도 부른다."(조선왕조실록 고종 21년 6월 20일)하여 전복과 같은 옷으로 보고 있다. 조선조의 백관복(百官服)이 제정된 이래로 상복(常服)은 사모(紗帽)‚ 단령(團領)에 흉배(胸背)의 품대(品帶)였었는데‚ 고종 31년 12월 조신(朝臣)의 진궁(進宮) 통상예복(通常禮服)으로 주의(周衣)·답호( 護)·사모(紗帽)·화자(靴子)를 착용케 함으로써 큰 변화가 있게 되었다. 고종 32년(1895) 3월에는 진궁(進宮)시에만 모(帽)·화(靴)·사대(絲帶)·흑색(黑色)주의(周衣)를 입게 하였고 8월에 제정된 문관복 장식에서는 통상 복색은 편에 따라 주의·답호·사대를 착용하되 내외관(內?官) 사진시(仕進時)는 거리낌이 없으나 진현시에는 입지 말라고 하였다. 본 유물은 소화문단(小花紋緞)으로 지었고‚ 방령(方領)에 옆이 완전히 트여 있으며 끈을 달았던 흔적만 남아 있고 소매는 민소매이다.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을 얇게 넣었고‚ 깃은 이중으로 하면서 옷감과 색상을 달리하였으며‚ 동정은 없으나 그 위치는 정확하게 남아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